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1,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성 장 질환 환자 '희소식'…손상된 장 재생시키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손상된 장의 재생과정 모식도. 장 내피세포가 재생줄기세포를 생성하고 재생줄기세포가 장 줄기세포로 분화한다.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쥐 연구를 통해 손상된 장의 재생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했다. 만성 장 질환 환자의 회복 가능성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 ... ...
나방에서 폐플라스틱 처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꿀벌부채명나방'이 갖고 있는 효소를 이용한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기술을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손진수 감염병연구센터 연구원, 류충민 감염병연구센터 ... 활용한 폐플라스틱 처리의 실용화 가능성을 최초로 보여줬다”라고 밝혔다. -https://doi.org/10.1016/j.jhazmat.2024.13626 ... ...
배터리 화재 줄이고 수명 늘리는 삼중층 고체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삼중층 고체 전해질 리튬금속 배터리를 개발한 김재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책임연구원(뒷줄 오른쪽) 연구팀.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복합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개발해 화재 위험을 줄이고 수명을 늘린 리튬 금속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재현 에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줄이는 유전자 교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유전자 교정 기술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새로운 유전자 교정 기술을 사용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 플라크(찌꺼기)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생쥐를 사용한 실험 결과 기존 유전자 교정 기술보다 높은 효율로 질병의 원인을 감소시키는 ... ...
537광년 떨어진 태아별, 우주의 '천연 화학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변광하는 태아별 B335 주변의 화학적 변화. 페이즈2(가운데 그림)에서 태아별이 폭발적으로 밝아지면 페이즈1(왼쪽 그림)에서 얼음 상태로 있던 복합유기분자들이 기화된다. 페이즈3에서 태아별이 다시 어두워져도 유기분자들이 태아별 표면으로 응축되지 않고 기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 ALMA (ESO/NAOJ ... ...
피자 반죽처럼 날아가 달라붙는 부착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GIST 연구팀이 발사부착탄을 차량 후면에 발사하는 모습.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피자 반죽처럼 회전하며 접착 물질이 펼쳐져 멀리서도 안정적으로 물체를 부착할 수 있는 발사부착탄 기술을 개발했다. 최대 10m 거리에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나 카메라 같은 전자기기를 발사·부착시킬 수 있어 ... ...
늘어나는 디스플레이 소재 변형, 색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손으로 잡아서 늘렸을 때 서페타인(Serpentine) 구조의 스트레칭 변화를 색으로 표현한 모습.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트레쳐블(늘릴 수 있는) 기술의 핵심인 ‘서펜타인 구조'의 변형 과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색 변화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관찰이 어려웠던 서펜타인 구조의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코소도 요이치 한국뇌연구원 신경회로연구그룹 책임연구원(왼쪽)과 이원영 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제공. 뇌 발달 과정에서 신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나 교세포로 전환되는 분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뇌전증, 자폐 등 신경질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참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뇌연구원은 코 ... ...
"가운데 낀 아이, 다른 형제자매보다 협조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출생 순서와 협조적인 성격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태어난 순서가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칠까. 일부 연구자들은 가족 내 위치가 성격을 결정 지을 수는 없다고 보고 있지만 23일 이를 반박하는 연구가 발표됐다. 적어도 협조적인 성격 특성은 출생 순서의 영향을 받는다는 ... ...
"고차원 뇌 활동에 시간 더 많이 들어"…뇌기능 '시간적 스케일'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포유류 뇌에서 정보 표상의 시간적 스케일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KAIST 제공 한‧미 공동 연구진이 뇌 신경 활동이 이뤄지는 시간적 규모(스케일)에 대한 보편적인 패턴을 파악했다. 두뇌가 수행해야 하는 여러 가지 기능 중에는 감각 정보 처리와 같이 순간적인 것, 기억과 같이 상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