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주파수"(으)로 총 626건 검색되었습니다.
- 1km 떨어진 가습기와 에어컨이 서로 대화를?과학동아 l2014.04.24
- 심한 게 단점이었다. ETRI 연구팀은 이 점에 착안해 TV 유휴 주파수 대역인 470~698MHz주파수를 이용하는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실험 결과 혼선이 거의 없으며 최대 통신거리가 1km까지 늘어났다. 이 기술은 지그비 못지 않게 소형 칩셋을 이용한다. 손톱만한 크기지만 세계 ...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과학동아 l2014.04.18
- 100배만 증폭시켜도 전송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1000Hz대의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효율성도 우수하다. 임 교수는 “2011년 일본 원전사고 당시 계측기 전원이 끊겨 피해 규모가 커졌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런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 ...
- 산업용 무전기 혼선 줄인다과학동아 l2014.04.08
- 공사현장이나 재난재해시 사용되는 산업용 무전기의 잦은 혼선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는 국내 무전기 업체가 자체 개발한 ... 협의를 거친 후, 대국민 의견수렴을 거쳐 6월말까지 정식으로 ‘무선설비 기술기준과 주파수 분배 고시’를 개정할 계획이다 ... ...
- 실종 한 달 만에 신호 보낸 블랙박스, 그동안 어떻게 버텼나 과학동아 l2014.04.07
- 초음파 발신기를 달고 있다. 이 장치는 물이 접촉하면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주파수탐지기로 찾을 수 있는 진동수 37.5kHz의 초음파 신호를 내보내는데, 블랙박스 탐지 장치인 ‘토드 핑거 로케이터'(TPL)’를 이용해 찾을 수 있다. 블랙박스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있어 6000m의 ...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쎈 놈' 온다과학동아 l2014.04.02
- 매끄러운 만큼 표면적이 좁아 민감도가 낮고, 작은 분자가 탐침에 붙었을 때는 공진주파수의 크기 변화도 작아 ‘물질이 붙었다’는 사실만 알 뿐 어떤 물질이 붙었는지는 확인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캔틸레버의 표면에 울퉁불퉁한 다공성 층을 만들어 기존에는 검출하기 어려웠던 아주 낮은 ... ...
- 우리나라 표준시간 송출방식 FM에서 AM으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7
- 시간 정보를 이용하기 어려울 뿐더러 운용 비용도 많이 든다. 그래서 최근 시간방송 주파수를 AM라디오에서 쓰는 장파로 변경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장파는 파장이 길어 정보 전달 거리가 멀고, 지표를 따라 움직이는 지표파의 성격이 강해 산 같은 장애물도 쉽게 피할 수 있으며, 얇은 ... ...
- 83대 1 경쟁률 뚫은 청년들 유럽 제조업 현장에서 본 것은?동아사이언스 l2014.02.14
- 금속과 용접 부위의 재료에 따라 초음파 주파수를 다르게 합니다. 미세한 균열이 있다면 주파수의 전달 속도가 다르겠지요. 이를 확인하면 보일러의 균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일러 설비의 재질이나 균열의 종류가 다양할 텐데 고객들의 테스트 요구에 어떻게 신속하게 대응할 수 ... ...
- 시각장애인 가수 스티비 원더의 재능 발달 멈추지 않는다고?동아사이언스 l2014.02.11
- 실험쥐들의 청각피질 뉴런이 B그룹보다 더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각기 다른 주파수와 음의 높낮이를 구분하는 실험에서도 A그룹이 B그룹보다 더 잘 듣고 잘 식별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아나 아동 시각장애인에게만 발생한다고 알려진 뇌의 적응 현상이 성인이 된 후에도 ... ...
- 디지털 사이니지용 UHD 패널 출하량 급증… 문제는 가격동아일보 l2014.01.16
- 것을 의미한다. 인프라 구축 및 업그레이드 관련 투자 비용, 4K 콘텐츠 지원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 확장, 그리고 해상도 업그레이드에 영향받는 전송 프레임률(frame rate), 휘도 및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 등의 스펙과 조화 등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자체가 극복해야 할 과제 역시 아직 남아있다. ... ...
- “NSA, 세계 10만대 컴퓨터에 해킹프로그램 심었다”동아일보 l2014.01.16
- 있지 않아도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NSA가 2008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이 기술은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정보를 보낸다. 먼저 목표 컴퓨터의 USB포트를 통해 USB카드를 집어넣거나 소형 회로판을 심어놓는다. 이후 최장 8마일(약 13km) 근처에서 서류가방 크기의 중계기로 USB카드나 회로판이 발신하는 신호를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