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애
자비
자혜
인후
친절
유전인자
다정
뉴스
"
인자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개념 항균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생긴 ‘황색포도상구균’이란 세균을 이용해 실험했다. 잔소안제롤은 이 균의 병독성
인자
합성을 방해해 인체 내에서 각종 증세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 결과 힘을 갖지 못한 세균은 결국 인체 면역작용으로 사멸됐다. 연구진은 잔소안제롤과 같은 역할을 하는 물질을 유기화학적으로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사실을 발견했다. Id2 단백질이 조절 T세포의 분화와 발달, 기능을 관장하는 전사
인자
인 ‘Foxp3’의 발현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성 경화증을 앓는 동물의 조절 T세포에서 Id2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 결과, 증상이 더 심해지고 도움 T세포로 변환되는 정도도 더 커졌다. 암의 경우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822개의 신경세포가 갖고 있는 차이점을 알기 위해 가바(GABA)수용체를 만드는 세포내 전사
인자
들의 RNA 염기서열을 분석해 비교했다. 가바 수용체는 거의 모든 신경세포 위에는 흥분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바 수용체를 만드는 전사 유전자들의 RNA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했고, 그에 따라 ... ...
[표지로 읽는 과학]암세포 속 염색체 모습을 찍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억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수십만 개의 전사 조절
인자
가 확인됐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창 교수는 “현재 특정유전자가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 우리가 아는 것은 전체의 2% 정도로 극히 적다”며 “특히 염기가 지정돼 있지 않은 대부분의 유전자 부위에 대한 ... ...
[여기에 과학] 30대 여성 난소에서 물혹이 많이 생기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시작합니다. 이 전구세포들은 분화하는 동시에 생식기가 위치할 생식샘 쪽으로 각종 전사
인자
의 도움을 받아 이동하게 됩니다. 문제는 약 7주 정도가 지났을 때, 생식샘 주변으로 췌장으로 분화될 세포들이 자리한다는 것입니다. 라비디 갈리 교수는 “전구 난모세포들이 생식샘으로 이동할 때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지연되고 신경세포 기능 이상도 회복됐다. 이 연구원은 “세포소기관 상호작용 조절
인자
는 미토콘드리아 칼슘 항상성 조절을 통한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달라지 고 있다. 사이언스는 “신경교세포뿐 아니라 면역체계에 관계하는 세포와
인자
들도 뇌 발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며 “현대 과학으로도 명확히 규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의 뇌가 생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주로 연구했다. 두 사람은 발상을 전환해 T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주위
인자
에 주목했다. 바로 ‘면역관문’이라고 하는 체내 단백질이다. 면역관문은암세포가 면역세포의 활동에 제동을 걸기 위해 활성화시키는 단백질로, 면역세포의 ‘브레이크’라고 할 수 있다. 앨리슨 교수와 혼조 ... ...
[표지로 읽는 과학] 풍선아트 같은 유전자 발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9
조직으로 성장하려면 정체성을 갖춰야 한다”며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나 전사
인자
등 다양한 변수를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생체 내부를 관찰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염색체의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루오 교수는 ... ...
뇌전증 동반하는 소아 뇌종양 원인 KAIST 연구팀이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이용해 RNA 염기서열 분석 등 분자유전학적 기법으로 유전자와 여기에 작용하는 전사
인자
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소아의 뇌 발달과정 중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줄기 세포에서 ‘비라프 (BRAF V600E)’유전자를 찾아냈다. 비라프 유전자는 암유발 돌연변이 유전자로 유전되는 특징이 있어 태아에서 문제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