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44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임상 단계를 단축하려는 노력도 있다"면서 "미래에는 AI가 이 부분에서 시간을 당겨주는
역할
을 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미노산 서열을 토대로 단백질의 구조를 알아내는 알파폴드의 능력은 단백질 신약을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석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 AI가 발전하면 AI가 단백질 ... ...
10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남중현·김범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원료를 국산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안나 실장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전지 음극집전체
역할
을 하는 동박(얇은 구리 막)의 신규 물성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음극드럼용 티타늄 소재도 국산화해 2030년까지 약 12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박지혜 연구원은 전 직장인 ... ...
매운 음식에도 플라시보 효과…맵지 않을까 걱정하면 더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NPS)을 증가시켰다. 기대감에 따라 몸이 다르게 반응한 것이다. 연구팀은 "쾌락적 기대의
역할
이 강력하다"며 "기대가 임상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결과는 쾌락적 기대가 주관적 경험과 신경 반응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밝혀 통증 지각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 ...
[노벨상 2024]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특히 인공신경망 훈련을 위한 '역전파 알고리즘' 개발은 기계학습과 AI 발전에 주요한
역할
을 했다. 2006년 힌턴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효율적으로 학습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딥러닝'이라는 신기술을 등장시켰다. 딥러닝은 AI를 학습시키는 ‘기계학습' 방법 중 하나다. 딥러닝은 사람의 뇌가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사람마저 능가하는 AI 작업능력의 핵심요소로 꼽힌다. AI 계산능력에서 핵심적인
역할
을 하는 인공신경망을 구현하기 위해선 정교한 정보처리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과학자들은 기존에 가장 정교한 계산 처리 능력을 가진 인간의 뇌 원형에 주목할 수밖에 없었다. 인간의 뇌에서 정보를 ... ...
[과기원NOW] UNIST, 저전력으로 가능한 AI 구동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경청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무료 법률 자문, 법 개정 등을 통해 공익법률단체의
역할
을 수행했다. 시상식은 8일 오후 KAIST 도곡캠퍼스에서 진행된다 ... ...
쉽고 빠르게 원자 편집해 약효 극대화…신약 발굴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연구팀은 빛에너지를 활용하는 광촉매를 도입해 해당 기술을 구현했다. 분자 가위
역할
을 하는 광촉매 개발을 통해 오각 고리를 자유자재로 자르고 붙여 상온·상압 조건에서 동작하는 단일 원자 교정 반응을 세계 최초로 성공시켰다. 연구팀은 “들뜬 상태의 분자 가위가 단전자 산화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마이크로 RNA는 우리 몸에 있는 유전자가 활약을 할지 말지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한다. ● 왜 이름이 '마이크로'? '마이크로'라는 이름을 가진 건 매우 짧아서다. 인간의 유전체는 모두 30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라는 단위로 이뤄져 있다. 마이크로RNA의 길이는 20~25 뉴클레오타이드 ... ...
대내외 갈등 항우연·탐사 정조준 천문연…우주청 시대 첫 수장에 쏠린 눈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우주청 산하로 이관되면서 한국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우주탐사 임무를 탐색하는
역할
을 주도하게 된다. 우주 분야에서 영역을 확대해야 하는 만큼 우주 분야 전문가가 등용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이유다. 천문연 원로 연구자는 "연구원이 다룰 수 있는 연구 분야가 확장되는 기회로 ... ...
"몇살까지 살까"…인간 기대수명 증가세 꺾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수명을 말한다. 수명 예측은 사회·보건·경제 정책과 제도를 정할 때 매우 중요한 지표
역할
을 한다. 19세기 중반까지 인간의 기대수명은 20~50세로 현재에 비해 매우 짧았다. 20세기 초부터 공중보건과 의학이 발전하며 기대수명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2000년 동안 1~2세기마다 1년씩 증가하던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