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636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연구를 이끈 미셸 루치 로체스터대 교수는 "시각도 다른 감각과 비슷하게 입력되는
신호
와 운동 활동의 조합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잘못된 상황에 부닥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전전두엽피질의 뇌세포는 편도체에
신호
를 보내 우리가 위험한 충동성 행위를 하는 것을 막는다. 편도체의 흥분성 뇌세포가 활성화되면 사람은 불안감을 느끼고 신중해진다. 그런데 어린이나 성인에 비해 청소년기에는 이런 전전두엽피질과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예측하는 인공신경망을 만들었다. 날개 움직임에 대한 개별 공막의 역할을 예측하는
신호
변환기도 개발했다. 그런 뒤 곤충의 각 부위 근육 활동이 비행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해 실제 파리와 유사하게 비행할 수 있는 로봇 파리를 완성한 것이다. 분석 결과 이렇게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6G 코어네트워크
신호
처리 속도 높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6G 심포지엄 스프링 2024 전시회에서 고남석 ETRI 모바일코어네트워크연구실장(왼쪽에서 3번째) 및 연구진과 헬싱키대 교수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ETRI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9일부터 사흘간 핀란드 오울루에서 열린 ‘6G 심포지엄 스프링 2024’ 전시회에서 최신 연구성과 ... ...
악천후 오프로드 아랑곳 않는 자율차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기술이다. 또 먼지나 눈, 비 입자의 작은
신호
를 제거하는 센서
신호
보정 기술을 통해 악기상 등 비구조화된 환경 조건에서도 주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주행가능영역 추정 기술과 주행제어 기술은 장애물이나 급경사, 구덩이 등 울퉁불퉁한 길에서 주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이길 수 없다”고 썼다. 흥미롭게도 베무라페닙의 표적인 변이 RAF 단백질은 라스의
신호
전달 경로에 놓인 효소다. 라스 단백질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끝내 성공하지 못한 장 박사가 이번 논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 ...
"고지방 단 음식, 청소년 뇌 기억기능 손상시킬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라며 "지방과 당분이 많은 음식을 먹고 자란 동물들에게선 이러한
신호
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정크푸드가 야기한 기억 손상을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최근 연구에선 'PNU-282987'과 '카르바콜'이란 두 가지 약물을 사용해 ... ...
한울 6호기 재가동 승인…자동정지 원인은 증기발생기 제어
신호
선 손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신호
선이 손상으로 인한 증기발생기 공급 유량 감소로 밝혀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신호
선 정비를 완료하고 주급수펌프의 속도 제어를 다중화로 설계하는 등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했다. 원안위는 한수원 정비사항 및 재발방지대책 적합성을 검토하고 이후 원자로 출력 상승 과정을 점검하며 ... ...
몸에 넣는 의료기기 감염 억제…유연한 방오코팅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갖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는 인체 조직과 유사한 탄성률을 가지면서도 생체 내 전기적인
신호
를 인지하고 전기 자극을 생체 조직으로 전달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삽입형 의료기기는 감염 및 염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윤활유 기반의 방오코팅 기술이 ... ...
AI반도체 생산 효율 2배...초고성능 칩렛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칩렛 중에서도 빛을 사용하는 광자 칩렛이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빛은 전기보다
신호
강도가 오래 지속되면서 더 빠르게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광자 칩렛 구조를 형성하는 네트워크의 규모를 대폭 증가시켰다. 전자기파의 분열과 상호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