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교정한 토마토 묘목의 모습을 2일자 표지로 실었다. 초록색의 토마토 묘목이 투명한
배양
접시 위에서 파릇파릇하게 자란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해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로, 길잡이 RNA와 DNA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단백질)로 이뤄졌다. RNA가 목표 DNA ... ...
"동물실험 안 한다" 세계적 英 연구소 두 곳 동물실험실 폐쇄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일어나고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생어 연구소는 동물실험 대신 세포를
배양
해 입체 구조를 갖춘 미니장기로 만드는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대체실험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암과 같이 몸 여러 곳의 반응을 함께 실험해야 하는 복잡한 질병의 경우는 일부 동물실험을 병행하지만, ... ...
음식물 넘기는 인공식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3D 프린터로 찍어냈다. 여기에 인간유래간엽줄기세포를 이식하고 생물반응기에서 3일간
배양
해 인공식도를 만들었다. 특히 식도 안쪽에는 상피세포를, 식도 바깥쪽에는 근육세포를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인공식도를 쥐에게 이식한 결과 식도가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넘기는 ... ...
줄기세포로 신약 효과 검증하는 인공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두 기술의 단점을 해결한 간 장기 유사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3차원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은 줄기세포의 자가조직화 능력을 이용해 인체 조직과 유사하게 3D 형태로 제작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연구팀이 개발한 간 장기유사체는 신체 밖에서 5개월 이상 증식이 가능하며 동결 보존 이후에도 ...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단백질이 대부분 세포막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다. 먼저 세포
배양
액을 분석한 결과 호메오 단백질이 검출됐다. 인체의 호메오 단백질 160여 개를 분석한 결과 95%가 세포 밖으로 분비돼 주변 세포로 이동했다. 호메오 단백질이 소수성인 세포막을 뚫고 나가고 들어오는 과정도 ... ...
장내미생물처럼 콧속에도 건강지킴이 세균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36%)이었다. 연구팀은 코 점막에서 채취한 표피포도상구균을 실험실에서
배양
해 생쥐의 코 점막에 이식했다. 그리고 독감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러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90% 이상 사라지고 쥐의 독감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졌다. 반면 표피포도상구균을 이식 받지 ... ...
루게릭병·조현병 원인은 수백만 년 전 인류조상 몸에 침투한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조현병 발병에도 인간 내생 바이러스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험실에서
배양
한 인간의 신경세포에 인간 내생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을 주입했더니, 이 두 질환 발병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평소 건강할 때에는 인간 내생 바이러스 ... ...
흡연하고 난 자리에 장시간 노출돼도 유전자 돌연변이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교수팀은 흡연을 하지 않고 건강한 사람 4명의 콧속 상피세포를 얻어
배양
한 뒤 3시간 동안 3차 흡연물질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리고 RNA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산화스트레스나 세포 생존과 관련된 유전자 389개에 돌연변이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382개는 유전자가 과발현했고, 7개는 발현률이 ...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NK세포 대량증식 기술 30억원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수 있는 기술을 2년 전 개발했다. 기존
배양
방식은 NK세포를
배양
하면 T 세포도 함께
배양
됐다. 김민석 의학원 연구센터장은 “T세포는 많은 양을 몸에 이식하면 과도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NK세포를 활용하려면 T세포를 분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NK세포와 T세포를 어느 정도 분리한 다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
액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데스 테타이오타오미크론의 점유율보다 bt4096 계열 효소의 양에 더 관련돼 있었다. 장내미생물의 조성보다 대사 관련 효소의 유무와 양에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