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정
정정
캠퍼스
구내
개정
교열
보정
뉴스
"
교정
"(으)로 총 82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은 팔았지만 배아 실험할지 몰랐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리 '빨간불'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기술은 유전자의 특정 염기를 골라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가 사용됐다. 미국 유전자
교정
분야에서 앞선 회사인 서모피셔사이언티픽은 절단효소인 CAS9 단백질을 공급했다. 미국 스타트업 기업인 신테고의 RNA 합성 지침 기술은 RNA 합성에 대한 일종의 안내서이다. 유전자 편집을 정육점 고기를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다시 불붙은 인간 배아 연구 논쟁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이런 이유로 인간배아는 항상 생명윤리 논란의 단골 소재가 되고 있다.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은 점도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이번 유전자 편집 아기 사건을 계기로 과학계도 어디까지 배아를 다룰 것인가 고민이 깊어졌다. 한국도 이런 고민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 연구 허용하되 출산 별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지난 2016년 2월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인간배아의 유전체를 연구용으로
교정
하는 걸 세계 최초로 승인했다. 연구에 쓰인 배아를 14일 내 폐기하고 자궁 착상을 금지하는 엄격한 조건을 달았다. 영국은 인간수정 및 배아법에 따라 인간배아생식관리국이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편집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점입가경 ‘유전자 편집 아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역시 유보적인 입장을 표했다. 김 단장은 전화 통화에서 "허 교수가 만약 배아
교정
단계에서 멈췄다면 좋은 연구로 평가 받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세계에서 김 단장팀만이 할 수 있는 오프타깃 효과 분석을 스스로 학습해 터득, 사용했다. 하지만 무모하게 배아 착상 및 출산까지 연구를 ... ...
[뉴스룸] 세계 과학계에 민폐 끼친 中 ‘디자이너 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현재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유전병 치료 등 특정 목적의 기초 연구에 한해서만 인간 배아
교정
을 허용한다. 과학자의 결의가 “일단 저지르고 보자”는 연구자의 막무가내식 돌출행동을 막지 못했다는 사실은 우려스럽다. 학자들은 윤리 문제는 둘째 치고 허 교수의 연구는 의료적으로도, ... ...
“유전자
교정
한 아기 태어났다” 中 과학자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기다리고 있어 성공 여부를 논하기 어렵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앞서 배아를 직접
교정
해 실제 아기를 태어나게 하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충격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의 구체적인 전모는 화요일부터 진행될 학술대회에서 드러날 전망이다. ... ...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시도가 급격히 늘고 있다. 그는 “초기엔 환자의 몸에 꼭 맞는 수술보조 기기, 치아
교정
기, 인체 이식용 약물 배출장치가 인기를 얻었다”며 “최근에는 기관지 등 인체 이식이 가능한 일부 생체 조직까지 생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래에는 이보다 더 나아가 인간에게 직접 이식이 가능한 ... ...
[미래융합포럼]"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기 위한 신기술·새 아이디어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연세대 교수는 이날 연구주제 발표에서 척추질환을 막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세
교정
용 맞춤형 의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박동욱 서울시립대 교수팀은 개인별 특화된 신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패치형 스마트 운동 센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임 단장은 “공동 연구를 통해 ... ...
[기본단위 재정의] 실생활·산업분야선 변화 아닌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측정장치로 맞추면 되기 때문에 키블저울의 종류에 따라 1g짜리 분동도 그대로
교정
할 수 있다”면서 “모든 산업측정을 한층 더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변화는 전류의 단위인 암페아(A) 측정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기술 분야는 물론 각종 분석기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6m일 때 2㎜이므로 얼추 맞는다. 물론 시력에 따라 해상도가 달라진다. 필자는
교정
시력이 0.8인데(노안이 시작돼 1.0으로 맞추면 가까운 데가 잘 안 보인다) 1.75㎜ 떨어진 두 점을 인식하려면 6m에서 좀 더 다가가 4.8m에 이르러야 한다. 표준 시력(1.0)의 거리에 자기 시력을 곱한 값이다. 시력이 1.5로 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