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이론적 고안·검증 外동아사이언스 l2025.02.04
- DGIST)은 박경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가 한국통신학회(KICS)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가 공동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 및 네트워크 저널(JCN)’의 무선통신 분과 편집위원장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JCN은 ICT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로 4개 분과에 60여 명의 편집위원으로 ...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설립 40주년 기념식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2.04
- 4일 대전 본원에서 설립 40주년 기념식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생명연 제공.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4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설립 제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1985년 설립된 생명연은 국내 바이오 분야 대표기관으로 지난 40년간 초소형 핵산분해효소 활용 유전자가위기술 개발, 항암 유전자 ... ...
- 우주선 엔진 '홀추력기' AI로 성능 예측…11월 누리호에 실려 검증동아사이언스 l2025.02.03
- 시스템' 올해 7권 3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연구 1저자로 박재홍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박사과정생이 참여했다. -https://doi.org/10.1002/aisy.20240055 ...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5.02.03
- 교수와 김석우·김주훈·김경태·정민수 기계공학과 석박통합과정생 연구팀이 평면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기존 광학 기술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렌즈나 거울로 빛의 ... ...
- 항암제 조합·투여 농도 예측 AI 개발…"정밀 암치료 가능"동아사이언스 l2025.02.03
-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남호정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별 항암제 조합과 투여 농도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AI 복합 항암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브리핑스 인 바이오인포매틱스’에 지난달 12일 온라인 ...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전극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2.02
- 자료> - doi.org/10.1039/D4EE04106B 왼쪽 아래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김규상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원, 정경민 교수, 오혜성 연구원, 방지윤 연구원, 김산 연구원. UNIST ...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과학동아 l2025.02.01
- 오마르 야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교수와 기타가와 스스무 일본 교토대 공학대학원 교수가 있습니다. 야기 교수는 처음으로 MOF의 개념을 정립하고 설계 원리를 체계화한 인물로 이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학자입니다. 그의 연구는 MOF라는 단순한 다공성 물질에서 벗어나 원하는 ...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5.01.31
- 갖춰 탄소 중립과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이진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김형준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음이온 교환막 기반 수전해 셀의 성능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고성능 고안정성 귀금속 단일 원자 촉매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 ...
- 떨어지는 탁구공 순식간에 잡아내는 로봇 동아사이언스 l2025.01.31
- 조규진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고무처럼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이 빠르고 강력한 힘을 낼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탄성중합체의 ... 박사과정생, 문승욱 서울대 기계공학과 석사과정생, 박용재 강원대 메카트로닉스 공학과 부교수가 연구에 참여했다 ... ...
- 양자컴퓨팅으로 복잡한 유체 난류 시뮬레이션 구현동아사이언스 l2025.01.30
- 공기 같은 유체가 매우 복잡하게 움직이는 난류의 변화 양상을 예측하는 것은 과학자와 공학자의 오랜 목표 중 하나다. 난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소용돌이가 상호작용해 변수가 매우 많다. 조금만 복잡해져도 최신 슈퍼컴퓨터로 정확히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다.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