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로"(으)로 총 7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 1000년 전 무시무시했던 백두산 대폭발, 다시 일어날까?과학동아 l2016.12.24
- 모양)가 대규모로 분화하면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화산재 기둥이 25km까지 치솟고 가로, 세로, 높이 4.6km 공간을 가득 채울 만큼의 화산재가 방출됐습니다. 백두산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위험한 화산으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이런 폭발이 또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백두산은 약 100년 ... ...
- [선물 포장 꿀팁] 어떤 모양 선물도 문제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6.12.23
- 넣으면, 한치의 오차도 없는 포장이 완성됩니다. ● 선물이 원기둥이라면, 포장지 가로 길이는 (원기둥의 지름*3)+(지름*0.15)cm 정도로 원기둥은 지름에 따라 포장지 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을 이용하세요! - 케이티 스테클(Katie Steckles)의 유튜브 채널에서 발췌 제공 때때로 필기구나 물통류의 ... ...
- [2017 CES] 조명 켜져 있어도 선명한 화질…'LG 미니빔 TV'포커스뉴스 l2016.12.20
- 영상을 빛으로 쏴주는 엔진 구조를 기존 'L' 형태에서 'I' 모양으로 최적화했다. 덕분에 가로 길이를 108㎜로 줄여 한 손에 쥘 수 있고 무게도 2.1㎏으로 휴대성을 높였다. 또 엔진 구조를 최적화하면서 제품 디자인에도 변화를 줬다. 제품 전면부의 중앙에 렌즈를 배치했고, 전체적인 제품 모양은 밑면이 ... ...
- 크리스마스 파티,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가요?동아사이언스 l2016.12.18
- 명함, 신용카드, 사진 등에서 바로 이 비율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TV나 모니터에서 가로:세로의 비율을 황금비의 근사값으로 사용한다. 사람의 경우는 상체는 3, 하체는 5일 때다. 만약 다리 길이가 황금비를 만드는데 못 미친다면 높은 구두로 비율을 보완해 보자. 머리 길이가 21cm인데 키가 16 ... ...
- 중국 최초 한중 합작 평화의 소녀상이 상하이에 설치된 이유가 뭘까? 2016.11.18
- 文苑楼) 앞 잔디밭에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되었다. 지난 해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가로공원에 설치된 한중 평화의 소녀상에 이은 두 번째 한중 합작 평화의 소녀상이자 중국 현지에 최초로 설치된 의미 깊은 위안부 소녀상이다. 중국에 최초로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이 상해 시내 한가운데, 그 ... ...
- 곤충로봇 이용해 나방 날갯짓의 비밀 풀었다2016.11.10
- 뿌리에서 복잡한 구조의 소용돌이가 발생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한 곤충은 날개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3:1 정도로 비슷한데, 실제로 이 같은 형상의 날개에서 안정된 소용돌이와 큰 양력이 만들어졌다. 장 교수는 “곤충이 비행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증거를 발견한 셈”이라며 ... ...
-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는 ‘2016 가을 전어’동아사이언스 l2016.10.07
- 여름내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가을이 되면서 수온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연안가로 돌아옵니다. 전어 입장에서는 힘들게 알을 낳고 이제야 겨우 살만해져서 돌아왔더니 인간에게 잡히는 상황입니다만, 우리에게는 이게 얼마나 큰 행운이랍니까. ● 회 vs 구이, 전어를 제대로 즐기는 방법 제철을 ... ...
-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03
- 프록시마b를 비롯한 10개 행성(파란색 점선)이 가능성이 가장 높다. 세로축은 표면 온도, 가로축은 겉모습이 지구와 닮은 정도를 수치화했다. 각 행성의 표면은 가상 이미지다. - GIB, 과학동아 제공 12년 전, 필자가 대학원에 막 들어갔을 때의 일이다. 어릴 적부터 어렴풋하게 우주에 관해 연구하는 ...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2016.09.26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수소↔전기변환 자유자재… 신개념 수소배터리 나왔다2016.09.22
- 물로 돌아가기 때문에 환경오염 없이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실험결과 이 전지는 가로세로 각 1㎝ 크기의 전지로 1시간 동안 약 0.9L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또 600시간 이상 장기간 사용해도 성능 감소 없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했다. 김 교수는 “태양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는 기후 조건이 맞을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