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시각"(으)로 총 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않는 세상을 과학으로 보고 얻은 사진들이죠. 바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이 공개한 ‘2008 국제 과학과 공학 시각화대회’의 수상작들이랍니다. 무한한 상상력으로 과학 세상을 느껴 보세요! - 오징어 빨판-사진부문 가작(미국 드렉셀대학교) 미국 화살오징어의 다리 빨판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으로, 빨판의 지름은 0.4㎜ 정도다. - ...
- 순간포착_과학으로 더 빛나는 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막을 내렸어요. 8월 1일자 특집기사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를 읽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올림픽을 색다른 시각에서 즐길 수 있었죠? 그럼 베이징 올림픽에 또 어떤 과학 원리가 나왔는지 우리 선수들의 활약을 중심으로 되짚어 봐요. 인간의 운동 능력으로는 받을 수 없다!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각각 하나씩 딴 배드민턴. 배 ...
- 감히 달이 해를 먹다니!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달 그림자가 생겨요.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에서 그 그림자를 관찰할 수 있지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위성‘테라’가 일식이있던 시각 시베리아 동쪽부터 북대서양까지를 찍은 사진이에요. 사진 왼쪽에 보이는 어두운 타원형 그늘이 달의 그림자예요. 검은 그림자가 진 지역은 태양이 완전히 가려진 곳으로 개기일식을 관찰할 수 있었고, 그 주변에 노란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헬리콥터를 타고 둘러보고 있는 이 곳은 시베리아 퉁구스카 강 근처 상공입니다. 저 아래 *타이가 삼림지대가 보이는군요. 지금 시각은 1908년 6월 30일 오전 7시 16분, 아직은 고요하기만 한 이 곳에 잠시 후 엄청난 일이 벌어진다고 합니다. 이제 시계는 7시 16분 50초를 넘어가고 있는데요, 57초, 58초, 59초…. “콰콰콰쾅!” ...
- 바람 따라가는 똑똑한 나방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기억해 두었다가 펜 움직임이 경로에서 벗어나면 반발력을 주어 움직임을 교정해 주었어요. 연구팀은 20분 동안의 연습이 끝난 뒤 시각장애 어린이들에게 보통 펜으로 글씨를 쓰게 했어요. 그러자 전혀 글씨를 쓰지 못했던 어린이들이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글씨를 쓸 수 있었답니다. [소제시작]가상 인터뷰[소제끝] 피부로 산소 감지하는 쥐 과학 실험에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웨인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습성이 있는 붉은밀가루딱정벌레의 시각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다른 곤충들이 자외선을 포함해 파란색과 붉은색을 구별하는 데 비해, 이 딱정벌레는 파란색에 반응하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딱정벌레의 눈에 파란색을 감지하는 ‘옵신’이 부족하다는 걸 알아 냈어요. 어두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늘어놓은 색상환에서 마주 보는 색을 짝지어 보색이라 불러. 노랑과 파랑, 빨강과 초록이 대표적인 보색이야. 보색을 함께 칠하면 시각적 자극이 크고 긴장감을 불러서 색채충돌이란 말이 나왔지. 촌스러운 느낌마저 들 걸? 하지만 보색을 잘 사용하면 선명하고 맑은 느낌을 줄 수 있어. 이건 색깔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세포가 보색을 함께 처리해서 그래. ...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할 수 있지요. 인공지능 로봇이 갖춰야 할 기능은 있으면서도 다른 로봇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답니다. 그래서 우리가 개발한 인공 시각 기능을 지능로봇에 적용할 때 마인드스톰을 이용하는 것이죠. 전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수업에도 마인드스톰을 활용하고 있어요. 프로그래밍은 실체가 없어 이해하기 어렵고 지루해지기 쉬워요. 하지만 마인드스톰을 이용하면 프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보이지 않는 세계 속에 숨은 모습을 아름답게 잡아 낸 모습이랍니다.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가 주최한 ‘2007년 국제 과학·공학 시각화 대회’의 수상작들이에요. 사진 하나하나를 보며 과학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세요(www.sciencemag.org/sciext/vis2007). 사진 부문 1등상(공동) 코 뒤에는 무엇이 있을까? 턱 밑에서 위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되면 저절로 시각을 알려 주는 물시계를 만들라고 하셨지요. 요즘 말로 알람 기능 추가요. 나는 연구 끝에 세종 16년(1434년)에 저절로 시각을 알려 주는 ‘자격루’를 만들었소. 조선시대에 알람시계라니, 정말 굉장하지 않소? 또한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혼천의’나 백성들이 쓰기 편한 해시계인 ‘앙부일구’ 등 셀 수 없이 많은 ...
이전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