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험범위
활동력
행로
생활 과정
d라이브러리
"
활동범위
"(으)로 총 89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손으로 만드는 홈소프트웨어, 마우스만 누르면 OK!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과학동아와 한글과 컴퓨터사가 공동 주최하는 홈소프트웨어 공모전에서 가장 푸짐한 상품이 걸린 프로그램 개발분야에 관심이 높다. 저작도구를 이용해 어린이를 위한 동화, 가족앨범, 게임 등의 홈소프트웨어를 제작해 보자.많은 사람들은 워드프로세서나 탁상 출판용 소프트웨어의 목적이 결국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북한의 정전협정 포기선언으로 북한군의 움직임에 촉각을 세운 한·미 양국군이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정보감시 태세를 강화하는 한편, 첩보위성과 조기경보기 등 최첨단 장비를 동원해 북한 전역을 철저하게 감시할 예정이다.북한의 정전협정 무력화 시도로 한반도의 긴장 상황이 높아짐에 따 ... ...
4. 의학 정상인의 심장박동은 카오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노화현상이라는 것도 기능적 퇴화가 일어나서 각 신체기관의
활동범위
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외부의 환경이나 자극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그만큼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뇌파에서 혼돈을 찾아라 대표적인 동역학정 시스템으로는 뇌를 들 수 있다. 뇌의 기능상태에 대한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에너지 확보와 환경오염 방지는 21세기를 맞이하는 인류에게 가장 큰 난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계면공학 측면에서는 어떤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는 것일까.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인간이 창조되기 전에 지상에 거주하고 있던 신들이었으며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화 중 말을 더듬거나 엉뚱한 표현이 튀어나오는 이유가 밝혀졌다. 조만간 언어를 지배하는 두뇌영역이 해부학적으로 드러날 전망이다."세상에 이럴수가! 친구와 얘기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그것의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거야. 아무리 애를 써도 입에서 나올듯 나올듯 하면서 안되는 것 있지. 더욱 ... ...
생명의 비밀 밝히는 멋진 나눔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생명과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나우누리에 접속해 'go sstudy 6' 하라. 당신과 같은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이 환영인사를 보낼 것이다.생명과학은 생명체가 지닌 일반 법칙과 질서를 파악함으로써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흥미로운 탐구다. 바이러스에서부터 인간에 이르는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서울의 '놀고 있는' 땅을 일구는 시민이 의외로 많다. 이미 뿌리내린 텃밭문화를 활성화시켜 서울 환경을 회복하자.서울시는 최근 마을에 방치돼 있는 소규모 시유지나 잡종지를 시민들이 휴식할 수 있는 소공원 형태의 마을마당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한 가족농원 주말농장 등이 서울시민에게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미 뇌사로 사망한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등을 다는 행위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합리하다. 이는 '생명의 연장'이 아니라 단순한 '심폐기능의 연장'일 뿐이다.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가장 중대하며 엄숙한 주제다. 죽음은 고래로 사회적 종교적 의식의 주축을 이루었으며,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PC통신 초창기부터 꾸준한 활동을 펼쳐온 '클틀'이 최근들어 다양한 분야로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 회사 대표인 이한순 사장은 동영상 정보를 가공해 통신망에 올리기 위한 미래 산업의 초석을 다지느라 바쁘다.'PC 1세대'로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80년대 초반 8비트 애플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불붙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과학실험위성은 우주개발 정찰대다. 위성을 시험하고, 다양한 관측과 실험을 통해 인간의 궁금중을 풀어주는 해결사이기도 하다. 우리별은 그동안 어떤 일을 했고, 앞으로 어떤 꿈을 실현해줄까.1992년 8월11일 우리별1호가 발사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위성 보유국 대열에 진입하게 됐다. 1989년 설립된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