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조선 최고 과학기술의 일부가 600년 시간을 버텨 이제야 모습을 드러냈다. 이 시대 최고의
학자
들이 다시 머리를 맞대 밝혀낼 유물의 비밀을 기대해도 좋다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완보동물’이에요. 이는 ‘느리게 걷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1777년 이탈리아 생물
학자
인 라찰로 스펠라차니가 붙인 이름이에요. 하지만 생김새가 마치 물속을 헤엄치는 곰 같아서 ‘물곰’이라고도 불려요. 물곰은 약 5억 4000만년전인 캄브리아기부터 지금까지 진화해왔다고 추정돼요. 곤충,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매일 1도만큼 회전시켜 시간을 보정했습니다. _ 인터뷰옛 하늘을 연구하는 천문
학자
김상혁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의 우리나라 옛 천문기기 모형이 가득한 방에서 김상혁 책임연구원을 만났습니다. 기자는 그곳에서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룬 느낌을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있다. 이미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 위기가 시작됐다는 경고도 나온다. 우 교수와 같은 식물
학자
들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노화를 이해하는 것은 식량 위기를 해소할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생명체에 대한 근본적인 궁금증을 해결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생명체와 노화를 바라보는 시각의 ... ...
[이달의 책]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싶은 인간을 위한 지침서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AI 논쟁을 현실적이고 폭넓은 관점에서 이해하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 기업가나 철
학자
가 아닌 개발자의 입장에서 인공지능의 현실에 대해 냉정하게 들여다봤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하다. 월요일, 다이어트를 하기로 결심했다. 샐러드도 꽤 맛있다. 화요일이 됐다. 배가 슬슬 고파오기 ... ...
준하의 고민 │친구 쉽게 사귀는 법을 알려줘~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친구가 있어도 말이지요. ‘내 친구 수≤친구들의 평균 친구 수’ 이게 바로 미국 심리
학자
스콧 펠드가 발표한 ‘우정의 역설*’이에요. 남과의 비교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자신감 있게 친구에게 다가가세요! 용어정리 *역설 :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중요한 ...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이 방정식은 세계 7대 수학난제로 여전히 정확한 해를 구하지 못하고 있어요. 그래서
학자
들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여러 근사해를 구할 수 있는 식을 개발해 해류의 흐름이나 파도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론 페드키우(Ron Fedkiw)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가 1999년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있다. 이렇게 특수한 쓸모로 수학을 공부한 학생들은 대부분 의대 등에 진학하거나, 수
학자
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며 선행 학습 중심의 수학교육에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선행학습은 학생의 역량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것 아닐까?’라는 ... ...
[특집] 시간, 하늘을 넘어 기계로 알아본다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이 시계들은 어떻게 일정한 주기로 작동할까요? 이는 1583년 이탈리아의 과
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진자의 등시성’과 관련 있습니다. 진자의 등시성이란 진자가 한 번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흔들리는 폭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며, 그 시간은 진자의 길이와 관련 있다는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송곳니로 자기를 무는 곳’이 등장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이 전해진다. 독일의 화
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꿈속에서 뱀이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에서 힌트를 얻어 벤젠의 육각형 분자구조를 알아냈다고 한다. 벤젠은 탄소 6개가 육각형 구조의 고리 모양으로 연결돼 있어 ‘6’과 관련된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