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대해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무언가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516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환자(경증 및 증증도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퇴원 후 4~8주간 후유증을 추적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의학 바이러스학 저널’ 7월 30일자에 발표했다.추적 결과 50명의 환자가 호흡문제로 부작용을 앓고 있었으며 바이러스가 직접 침투하는 호흡기관뿐만 아니라 심혈관 기관과 소화기관 등에도 부작용이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주기였던 세균, 바이러스 감염병이 21세기 들어 수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며 8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된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연구를 근거로 들었다. 연구팀은 수백 종의 숙주 동물을 조사해 도시화로 인해 사람과 숙주 동물의 접촉이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는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교수팀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DNA가 4중나선 구조로 만들어지는 순간을 최초로 포착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화학’ 7월 2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7-020-0506-4연구팀은 일반적인 형광물질보다 4중나선 구조에 더 잘 결합하는 형광 화합물 ‘SiR-PyPDS’를 이용해 4중나선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평생을 보냈다. 20개 이상의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었으며 저명한 신경과학 관련 국제
학술
지인 ‘신경언어학 저널’ ‘인지’ ‘신경과학’의 편집인을 지내기도 했다. 특히 부모의 모국어가 달라 태어날 때부터 두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이중 언어 사용자들을 연구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어린 ... ...
[수학뉴스] TV 많이 보는 아이...수학, 독해 능력 떨어진다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호주 멜버른의 머독어린이연구소는 과도한 TV 시청이 어린이의 수학과 읽기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리사 먼디 연구원팀은 호주 교육과 ... 제시할 수 있는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온라인
학술
지’ 9월 2일자에 실렸습니다.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더욱 자극해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2010년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임상 심리학 리뷰’를 통해 심상이 감각 신호에 반응하는 특정 뇌 영역을 자극해 정서 유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다. doi: 10.1016/j.cpr.2010.01.001이와 유사하게 심상을 떠올리는 동안 활성화되는 ... ...
[이달의 책] 인공지능 시대, 십 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소개하는 해외의 책 ※ 편집자 주과학동아는 '사이언스' '네이처' 등 유수의 국제
학술
지가 추천하는 해외 과학 교양서를 소개합니다. 여기에 소개된 책은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만큼 제목과 저자 등은 원서 그대로 표기합니다 ... ...
[한페이지 뉴스]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훈련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2018년 꿀벌이 벌집 안에서 맡은 먹이 냄새를 오랫동안 기억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행동 신경과학 프론티어스’에 발표한 바 있다. doi: 10.3389/fnbeh.2018.00011 이번 연구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벌집 내부에서 맡은 먹이 냄새(합성 해바라기꽃 향기)가 꿀벌이 찾아갈 식물을 선택하는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이런 차이는 14세 이상 청소년기부터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 doi: 10.1073/pnas.1316909110하지만 남녀의 뇌가 다르다는 주장에도 복잡다단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남녀 뇌에는 차이가 없다는 강한 반박도 나온다. 남녀의 뇌에 차이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