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8개 크기인 1.5 nm에 다다르면 반도체 특성이 유지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마치 케이크를
칼
로 자르면 조각 케이크가 되지만 더 잘게 부숴 가루로 만들면 더 이상 케이크의 의미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결국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소자든 분자를 포함한 어느 물질이든 1.5nm의 물리적 한계는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엔지니어 출신이었다. 19세기 사회사상가이자 경제학자인
칼
마르크스는 고대 원자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철학의 거봉으로 불리는 18세기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우주의 생성을 역학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했다. 누가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사돈의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정확히 계산된 에너지를 원하는 지점에 집중시킬 수 있어 의학 분야에서는 ‘기적의
칼
’이라 부른다. 라식수술에는 보통 자외선레이저인 엑시머레이저를 사용한다. 가시광선은 각막을 통과하지만 자외선은 통과하지 않아 엑시머레이저로 각막을 깎을 수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략기술연구부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하늘과 땅, 신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신성한 매개체 역할을 한 셈이다.스위스 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에 따르면 ‘아니마’란 남성의 마음 속에 억압된 구원의 여성을 뜻한다. 또 여성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구원의 남성은 ‘아니무스’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시시때때로 변하는 인간의 의식을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바 없이 평범하다. 하지만 놀라운 사실이 약 200년 뒤 밝혀졌다.1921년 미국 릭천문대의
칼
람플란드는 42인치 반사망원경으로 게성운의 사진을 연속으로 찍었다.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 찍은 사진들을 순차적으로 비교해보다 사진에 나타난 성운의 세부 구조가 미묘하게 달라졌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매우 단단하고 변형이 거의 없어 영원을 상징하는 보석으로뿐만 아니라 유리 자르는
칼
같은 공업 용도로도 사용된다.다이아몬드가 정사면체를 기본으로 한 3차원 구조인 반면 흑연은 정육각형의 꼭지점에 탄소 원자가 위치해 타일을 채운 2차원 구조다. 벌집 모양의 정육각형으로 이뤄진 타일이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빗겨가고 종이만 뚫리지. 결국 볼펜이 관통한 듯 보이는 지폐는 사실 멀쩡한 상태!
칼
로 목을 찌르는 무시무시한 마술도 이 실험의 원리와 같아. 실제로 관통한 듯 보이지만, 실험에서처럼 교묘하게 피해서 나온 거야. 어때? 무시무시하게 신기하지?내가 꾸미는 크리스마스 마술쇼!★사라져라, 얍!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의외로 무서운 흉기가 되기도 한다. 길이를 잰 뒤 갑자기 감기는 줄자의 날은 웬만한
칼
보다 더 깊은 상처를 남긴다. ‘2006년 대한민국발명대전’에서 금상을 받은‘코메론 안전 줄자’는 버튼을 눌러 줄자를 고정할 수 있다. 심사평"나는 어떠한 위기 상황에서도 탈출할 수 있는 맥가이버 특수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아직 몸이 다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헌혈을 할 수 없다.고기만 먹으면 몸에 좋지 않아요!
칼
로리가 높고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먹으면 동맥 안쪽 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쌓인다. 그러면 혈관이 좁아져 혈액이 잘 흐르지 못해 온몸으로 산소와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워진다. 건강을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만나 한가지 일두 개의 막대기가 만나 우리가 음식을 먹는 젓가락이 됩니다. 두 개의
칼
이 만나 더 쉽게 자를수 있는 가위가 되지요. 한국인은 쇠 젓가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재주가 좋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 봤죠? 정교한 움직임과 힘 조절이 필요한 젓가락을 사용하면서 손기술이 좋아진 거죠.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