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뉴스] 인터넷 속도가 왜 이렇게 느리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Gbps는 1
초
에 약 10억 비트, 한글로는 6250만 글자를 보낼 수 있는 속도예요. 1Mbps는 1
초
에 100만 비트, 한글로는 6만 2500개 글자를 보낼 수 있는 속도예요. 유튜버가 이런 문제를 제기하자 비슷한 일을 겪은 다른 사람들의 제보도 나왔어요. KT는 사과글을 올리기도 했죠. 논란이 커지자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째깍째깍 시간을 더하고 빼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달콤이가 맛있는 케이크를 만들고 있어요. 케이크를 만드는 과정을 보면서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알아봐요.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하디는 1915년 6월 런던 수학회 저녁 회의에서 라마누잔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초
기하급수(아래 식)도 그중 하나였어요. 이 식을 사용하면 첫 번째 항만을 이용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8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985년 당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소속의 수학자 빌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온도 분포와 균열 형성을 관찰하는 적외선 카메라가 실려 있어서, 낮에는 전자기유도 및
초
분광 카메라로 해빙의 전체 두께도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헬리콥터는 쇄빙선을 둘러싼 해빙과 눈의 지역적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현장 측정 범위를 위성이 보는 면적만큼으로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가장 긴 파트를 차지할 부분은 화성에 대한 부분일 것입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까지는 화성에 운하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죠. 1877년 망원경으로 화성을 관찰한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스키아파렐리가 이탈리어로 물길(canali)이라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를 영어 운하(canal)로 잘못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신기를 통해 받은 오디오 신호는 이후 일반적인 변환 및 증폭 과정을 거칩니다.최
초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입니다. 그래프상으로 표현하면 선이 쭉 연결돼있는 연속적인 신호죠. 마이크는 목소리를 크게 만드는 도구인 만큼 증폭하는 과정이 필수인데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책임감 있는 데이터사이언스’란 AI 윤리 과목을 이수해야만 한다. 국내에서는 2022년
초
·중·고교에서 AI 윤리를 포함한 ‘AI 교육’이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최 교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AI 전체를 설계하는 기획자까지 모두 교육이 이뤄질 때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정해진 시간 안에 꿀잼 영상 골라보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본책 28 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한번 보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되는 꿀잼 영상들!하지만 너무 오래 보면 곤란해요. 달콤이는 빵을 굽는 동안에만 영상을 볼 거예요. 어떤 영상을 보면 좋을까요?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지역에서 개구리가 줄자 뱀도 급격히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0세기
초
‘항아리곰팡이 감염병’이 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퍼지면서 사라진 양서류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어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6년간 중미 파나마의 엘 코페지역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독일 에어랑엔대학교 연구원이 2011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황제펭귄들은 30
초
에서 60
초
마다 5cm에서 10cm 정도 차례차례 움직입니다. 이 움직임은 아주 미세해 마치 황제펭귄들이 꼼짝하지 않고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이죠. 이렇게 바깥쪽에 있던 황제펭귄은 점차 따뜻한 안쪽으로 이동하고,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