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고
일등
제일
으뜸
우두머리
일위
수석
d라이브러리
"
첫째
"(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입맛은 부드러움으로 길들여졌다. 따라서 지금도 아이스크림 하면 부드러움을 그
첫째
조건으로 꼽는다.부드러움을 위하여아이스크림의 부드러운 맛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얼음과는 왜 다를까. 영하 20℃ 이하의 온도에서도 숟가락으로 뜰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아이스크림의 독특한 풍미를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확인도 반박도 못하고 있지만, 박종철씨의 주장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첫째
는 발굴팀이 운주사 학술조사 보고서에 실은 운주사의 탑 배치도는 ‘현재’의 배치도라는 사실이다. 때문에 표시된 위치는 12-13세기 탑이 세워질 당시의 위치가 아닌 것이다. 황호균씨는 도면의 11번, 12번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남긴 중성자별이라 페가수스자리 51번별의 행성 발견보다 각광을 덜 받았다.이후
첫째
와 둘째 방법을 동원해 1999년 2월 현재 약 20개의 별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들을 발견했다. 셋째 방법으로 지금까지 2개의 펄사에서 행성들을 발견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2개의 별 주위를 도는 먼지 구름층도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가치가 부여된다.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좋은 직업이 갖춰야할 조건은 무엇일까.
첫째
는 무엇보다 '적성에 맞는 일'이고, 둘째는 '다른 사람에게 이익을 많이 주는 가치 있는 일'이다. '적성에 맞는 일'은 개인적인 취향과 개성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논할 필요는 없다.그러면 '다른 사람에게 이익을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사실 우리별 3호의 발사는 세간의 무관심과 달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는 지금까지 연구해온 소형 과학실험위성인 우리별의 독자적인 모델을 최종 완성했다는 점이다. 즉 소형 과학실험위성 발사를 꿈꾸는 다른 나라에 기술을 이전하고 개발을 대행해 줄 수 있을 만큼 자생력을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지은 많은 음악당들보다 아직도 이 홀들의 음향이 아름답고 뛰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는 홀의 형태이다. 이 홀들은 전형적인 직사각형의 평면에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형태는 천장이 높고 홀의 폭이 좁아서 측벽을 통한 음의 강한 반사가 빠른 시간 내에 객석에 도달하고, 객석수에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사용할 수 있다. 고층건물에 작용하는 외력은 대체로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로 건물의 자체하중, 건물 안에 적재된 가구물, 그리고 사람들의 무게가 지구중심으로 향하는 연직방향의 중력이다. 건물의 높이와 층수가 높아질수록 무게는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중력작용에 의한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기록·재생의 정확성이 꾸준히 향상돼 왔다. 이는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방향이다.
첫째
와 둘째는 기록매체와 기록·재생장치(헤드) 제조기술의 발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셋째는 신호처리(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및 구동방식(헤드 구동)의 발달에 바탕을 두고 있다.자기기록 기술은 크게 ... ...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물론 아니다. 소위 도로표지용 페인트로 불리는 유성페인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건조속도가 빠르다. 둘째 아스팔트와 열팽창률이 비슷하다. 만약 다르다면 차선이 쉽게 갈라질 것이다. 실제로 아스팔트와 열팽창률이 똑같지 않기 때문에 기온 변화가 큰 여름과 겨울이 지나면 차선이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모두 박막으로 구성됐다고 생각해도 된다. 그렇다면 왜 재료를 박막화하는 것일까.
첫째
소자의 복합화와 집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가지 재료만으로는 특수한 기능의 소자를 만들 수 없다. 즉 여러 가지 재료를 복합화해야만 가능하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전자제품이 경량화,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