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측
어림
추리
예측
억측
어림짐작
대중
d라이브러리
"
짐작
"(으)로 총 1,048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발견된다. 이는 동물과 식물의 공통 조상이 한가지 타입의 유전자만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
케 해주는 결과다.또한 애기장대 총 유전자중 약 60%는 다른 박테리아나 동·식물에서 발견된 유전자와 부분적으로 유사한 염기서열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애기장대 게놈을 통해 다른 생명체의 기능을 어느 ...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그 기능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기능이 전혀
짐작
되지 않는 수수께끼 같은 유전자가 약 40% 정도가 남는다.모든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확인하려는 시도가 바로 게놈프로젝트에 이어 등장한 기능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이다. 기능유전체학은 매우 ... ...
3. 여신 아르테미스의 신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대리석 기둥을 58개 사용했다는 사실을 볼 때 이 신전이 얼마나 큰 규모인지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신전의 자재는 가장 아름답고 순도 높은 백색 대리석만을 사용했으며, 중앙의 넓은 홀에 네방향으로 대리석 계단을 딛고 올라갈 수 있게 했다.그리스 신화에서 아르테미스는 제우스와 레토의 딸로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갓 태어날 무렵 거대한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에 자전축이 많이 기울어진 것으로
짐작
된다.천왕성은 11월 밤하늘에서 5.7등급 정도로 빛나므로 쌍안경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주어진 성도에는 11월 한달 동안의 천왕성의 위치가 나와있다. 주변 별의 위치를 비교해가며 찾아보자. 천왕성의 겉보기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런 숫자가 수천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
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4세때 형 루드비에게 쓴 편지의 한구절을 보면 그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짐작
할 수 있다.“불쌍한, 생기다만 알프레드 노벨은 태어났을 때 인도적인 의사가 목졸라 죽였어야 했다. 장점: 항상 손톱을 깨끗하게 다듬고 남의 짐이 되지 않았다. 단점: 가족, 명랑한 정신, 식욕이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시드니올림픽 당국이 환경올림픽을 얼마나 긴 안목으로 준비해왔는가를 충분히
짐작
해볼 수 있다.주경기장에서도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건물 설계부터 고심해온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타원형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은 4곳의 물탱크로 모아지는데 바로 이 물을 모아 그라운드의 잔디를 키우고 ... ...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국제화에는 한발 앞서 있다. CNET이 ZDNet 인수에서 가장 크게 얻을 것이 무엇인지를
짐작
케 한다. 전반적인 닷컴기업의 위축 속에서도 이같은 공격적인 경영에 나설 수 있던 것도 CNET의 견실한 재무구조가 뒷받침 됐다.올 연말쯤 매듭될 양사의 합병 계약이 마무리되면 월 사용자수가 1천60백60만명이나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발표 빈도가 늘고 적용 분야도 대폭 확대되는 추세를 보더라도 그 무한한 잠재력을
짐작
할 수 있다.이정도의 발전속도라면 10년쯤 지난 뒤에는 곳곳에서 전자코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병원에서는 환자들의 몸에서 나는 냄새로 각종 병균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병의 진행상태를 진단한다.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화상을 분석한다. 이때 화상 속에 있는 어떤 물체의 크기를 물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짐작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멀리 있는 물체일수록 겉보기크기를 원래보다 큰 것으로 착각하는 잘못된 인식을 하게 되는데, 이를 거리착시라 한다.목성의 겉보기크기는 대략 달의 1/30 정도이다. 따라서 배율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