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만들어내고, 우주 저 멀리까지 자신의 후손들을 떠나보낼 수 있는 생물이란, 아마 우주의 역사를 통틀어도 흔치 않을 것이다.나는 은하에게, 정확히는 은하의 기억에게, 그 끝의 끝을 보여주고 싶었다. 죽음과 멸망으로 끝나지 않는, 그 다음의 이야기를. ... ...
- [특집] 거기 누구 없어요? 외계 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요.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지구로부터 약 195억 km 떨어진 우주를 날고 있습니다. 인류가 외계 생명체를 향해 첫 번째 메시지를 보낸 지 50년이 지난 지금, 이 메시지를 받을 외계인은 과연 존재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거기 누구 없어요? 외계 ...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거주 가능 영역이란? 지구의 생명체는 물에서 탄생했어요. 우주과학자들은 다른 액체에 비해 무언가를 녹이는 능력이 뛰어나고, 얼음이 물 위에 뜨는 성질이 생명 탄생에 큰 도움을 줬다고 말합니다. ‘골디락스 존’이라고도 부르는 거주 가능 영역은 행성의 표면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오작교를 대신할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제 오작교를 만든다고 고생하시지 않아도 돼요. 제가 이 자동차를 열심히 개조해서 우주까지 날아오를 수 있도록 만들게요.”씩씩한 직녀의 말에 까마귀 선생님은 안심하는 표정을 지으며 말했어요.“정말 다행이네요. 매일 같이 울고 짜는 직녀와 견우를 돌봐준 게 엊그제 같은데 언제 이렇게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이론물리학자가 모두 연구하는 동역학계는 여러 수학 분야를 융합해 연구할 수 있고, 우주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연구로도 이어질 수 있어서 주목받고 있어요. 이렇게 동역학계를 길게 설명하는 이유는 이번에 소개할 버리우 페테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순수수리통계학과 교수의 연구 분야이기 ...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선배보다 밝은 눈으로 본 대마젤란 은하 공개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지난 2020년 퇴역한 제임스웹 망원경의 선배다.스콧 프리드먼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웹 프로젝트 선임연구원은 “제임스웹 망원경이 관측 임무를 시작하기까지 이제 두 달 남았다”고 했다.김소연 ... ...
- [과학뉴스] 통가 화산 폭발, 우주 날씨까지 바꿨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UC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청(ESA)의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doi: 10.1029/2022GL098577통가 화산이 폭발한 압력은 지구 상공 60~ 1000km의 전리층까지 전해졌다. 위성에서 측정한 전리층 바람은 최대 초속 200m를 기록했다. 강한 바람은 ...
- [과학뉴스] 한국판 NASA, 경남 사천에 생긴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반대하며 매일 연재 편지를 쓰는 천문학자도 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탐사그룹장은 매일 인수위에, 인수위가 해단한 이후에는 과학기술비서관에게 편지를 전달하고 있다.문 그룹장은 편지를 통해 “정부 기관을 새로 설치하려면 설립 철학과 비전, 업무영역을 먼저 정의하고 ...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국립과학기술의학아카데미(NASEM·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는 10년 주기로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를 발표한다. 올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NASEM ... 천체를 살피고자 노력한다. 지은 책으로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옮긴 책으로 ‘우아한 우주’ 등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덧붙이며 어과동 독자들에게 마지막 이야기를 전하셨어요.“예전엔 우주인들이 우주선 수리가 필요할 때 밖으로 나가는 대신 로봇팔을 이용해서 고쳤어요. 로봇팔의 시작이죠. 요즘은 로봇팔이 의사를 대신해 환자에게 정밀한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는 공장형 로봇에서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