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땔감
땔거리
불땔감
에너지
힘
활력
목재
d라이브러리
"
연료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방식이 있다. 앞서 소개한 원통형 금속 용기는 간접 방식이다. 레이저가 중수소-삼중수소
연료
펠릿에 직접 화력을 집중하지 않기 때문이다. 레이저는 핵융합을 단번에 일으키는 게 아니라 엑스선을 발생하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 나용수 서울대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교수는 “두
연료
모두 액체
연료
보다 상대적으로 안정한 고체
연료
기 때문에 단순히
연료
를 바꿔 사고가 났을 가능성은 적다”며 “기계적 결함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버진 갤럭틱이 스페이스십2가 우주여행을 위한 안전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결심한다. 하지만 여기도 인간이 살 수 없는 척박한 곳이었다. 돌아온 그들은 부족한
연료
를 갖고 귀환 대신 인류의 미래를 위해 마지막 행성의 탐사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인공은 5차원의 공간에 갇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주인공은 지구에 신호를 보내 인류를 구한다.인류의 멸망은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4초 정도가 된다. 이 말은 만약 가둠시간이 4초가 되는 핵융합 장치를 만들 수만 있다면,
연료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넣어주기만 하면 반영구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바로 경제적인 핵융합 발전소를 지을 수 있는 단계다.에너지 가둠시간과 플라스마 유지시간케이스타 등의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상처를 주고 싶지 않았거든요. 1960년대에 미국과 소련의 과학자들은 우주선에 핵
연료
를 싣지 말자고 약속했어요. 탐사선이 지구를 벗어나는 과정에서 폭발하거나, 목적지 행성 주변에서 폭발하면 어떤 끔찍한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까요. 지구 밖에서 막 시작되고 있는 생명을 뿌리째 뽑는 ‘폭탄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비정상회담 안건은 좀 황당하다고 하더라고요.유세윤(사무총장): 도둑놈 심보예요. “
연료
도 풍부하고 깨끗하면서 안전한 에너지를 마음껏 쓰기를 바라는 저, 비정상인가요?”성시경(의장): 욕심쟁이네요. 에너지를 아낄 생각을 하셔야죠.유세윤: 저 보고 얘기하지 마세요.에네스 카야(터키 대표):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 에너지를 만든다. 필요한 것은
연료
(중수소와 삼중수소)와 약간의 외부 에너지다. 이터는 투입되는 외부 에너지에 비해 생산되는 에너지가 약 10배 정도로 많다. 50MW(5000만 와트)의 에너지를 투입해 약 500MW(5억 와트)의 열출력을 얻는다.이터는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연료
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
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0kg만 있으면 된다.소행성 주변을 뱅글뱅글 돌며 중력 견인달 궤도 창고에 보관해뒀던 소행성을 드디어 꺼내 쓸 때가 왔다. 거대 소행성이 지구를 향해 다가오기 시작한 것. ... ...
[과학뉴스] 하늘 나는 꿈의 자동차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에어로모빌3.0은 하늘 나는 자동차 세 번째 시제품이다. 초경량이면서 스포츠카 성능을 갖추고 있다. 한 번 주유하면 700km를 비행할 수 있으며, 일정 거리마다 있는 주유소에서
연료
를 재충전할 수 있다.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번에 쓴 로켓(PSLV-C25) 모두 여기서부터 발전한 모델이다. PSLV는 모두 4단계의 고체·액체
연료
추진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1단계 고체 추진체(139t)를 갖고 있다. 1993년 첫 발사를 실패한 이후 모든 시도가 성공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지금까지 총 71개의 위성과 우주선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