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색
보라빛
오랑캐꽃
제비꽃
바이올렛
자줏빛
d라이브러리
"
보라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통해 본 이 성운은 섬뜻한 푸른 빛으로 보이지만 사진을 통해 보면 분홍과 파랑, 그리고
보라
색이 어울린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다.트라페지움 성단의 팽창 속도와 그 구성 별들의 색깔과 밝기 등을 분석한 결과 이 성단은 채 50만년도 안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별들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빅토리아여왕의 생일인 5월 25일에 이 나라들의 국기가 모두 장미로 장식된 것을 상상해
보라
.그러나 이 장미는 아직 이 세상에는 없다. 멜버른의 유전공학자들은 지금 다른 꽃 예를 들어 페추니아에는 있으나 장미에는 없는, 푸른 색을 띄게 하는 효소를 추출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 효소가 정제되면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는 3.4등급의 제타별, 4.2등급의 엡실론별 그리고 5.0등급의 람다 별과 그 밝기를 비교해
보라
.케페우스 오각형의 중심에 있는 크사이 별은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한 이중성이다. 이 별은 4.4등급과 6.5등급 별이 흰색과 노란색의 쌍을 이루고 있다. 이 두 별은 실제로 쌍을 이루고 있는데 매 4천년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새끼의 털보다 함함한 동물 있으면 나와
보라
」고 큰 소리치는 고슴도치는 실제로 능청스러운 성격을 갖고 있다.'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는 속담이 있다. 자기 자식이 잘났건 못났건 간에 누구나 제 자식은 귀여워한다는 뜻이다. 갓낳은 새끼 고슴도치의 모양은 참으로 꼴불견이지만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전부터 기록돼 오고 있다. 1815년 4월 5일 인도네시아 숨바와(Sumbawa)섬에서 발생한 탐
보라
(Tambora) 화산의 폭발은 그 주변은 물론 5백㎞ 거리의 지역까지 3일간 어둠에 잠기게 한 보기드문 대폭발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다. 이 폭발이 있은 다음 해인 1816년은 '여름이 없었던 해'(the year without summer)로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때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은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
색으로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한번 통과한 상은 제대로 초점이 잡히지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를 색수차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를 몇개 결합시켜 사용한다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않느냐고 반문할지 모르나 전국에서 하루도 안 쓰는 날이 없는 합성세제의 양을 생각해
보라
. 완전분해가 되어도 걱정인데 10%가 분해되지 않고 남는다는 것은 이만저만한 문제가 아니다. 경성에서 연성으로 바뀌었지만 수질오염의 주범으로서의 위치는 조금도 흔들리지 않고 있는 셈이다.앞에서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점에 착안해 여러가지 색깔로 분류한 데서 비롯됐다. 즉 쿼크는 전하량에 따라 붉은색
보라
색 초록색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반(反)입자는 남색 노랑 자홍색(magenta)로 표시된다.1974년 코넬대학의 물리학자인 케네스 윌슨 박사는 QCD이론을 3차원 격자구조로 설명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 ...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광컴퓨터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빛을 가시광선(
보라
색에서 빨간색까지)이라고 하는데, 빛에는 이외에도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장이 더 긴 적외선이 있다. 인간은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도달되는 가시광선의 도움으로 물체의 색깔이나 모양을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들의 대다수는 단어나 문장의 암기를 좌뇌식으로 하기 때문이다. 우뇌식으로 암기해
보라
. 우뇌식 암기법은 우뇌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다. 뇌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해 우뇌의 이미지력을 살려 암기하면 쉽게 기억할 수 있다.좌우뇌의 전환훈련은 좌뇌의 생각을 우뇌로 바꾸는 것에 국한되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