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좌
성위
성운
포치
d라이브러리
"
별자리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천체쇼'를 펼치곤 한다.이외에도 3월의 대표적
별자리
는 바다뱀 자리가 있는데, 이
별자리
역시 신화속에서 인간을 괴롭히던 '악당'으로 묘사되고 있다. 결국 3월의 밤하늘은 무시무시한 괴물들이 활개를 치고 있는 셈이다. 이 악당들을 쳐부술 용사는 누구일까. 그리고 언제 나타날 것인가. 우리는 ... ...
자유를 향한 「열두가지 시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옛날 그리스에는 헤라클레스(Heracles)라는 힘센 장사가 있었다. 그는 신의 왕 제우스와 인간 사이에서 난 아들이었는데, 이 때문에 여신 헤라의 미움을 받게 돼 에우리테 ... 그래서 이 게는 다리가 잘려나가고 형체마저 희미해져 하늘에 올라간 후에도 어두운
별자리
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알고 있어야 하는데, 수많은 별들 모두의 밝기와 색을 기억하기란 불가능하므로 몇개의
별자리
를 선택해 집중투자해야 한다. 먼저 6,7등급 이하의 별들에 대한 정보를 익히고 이들의 밝기를 주변 별들과 비교해 상대적 순서를 외워야 한다. 그리고 매일밤 반복적으로 관측해야 한다. 이같은 방법은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촬영에 열을 올리는 유명한 '장미성운'과 산개성단 M50 등 중요한 관측대상들이 있는
별자리
이므로 꼭 찾아보도록 하자. 기타 문의 사항은 한국아마추어천문협회(790-0340)로 문의 바람.시리우스와 그 반성(伴星)가장 밝은 항성 시리우스는 태양에서 가까운 별로도 유명하다(약 9광년). 이러한 이유로 ... ...
신화속의
별자리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제우스와 스파르타의 왕비 레다(Leda)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형제로서, 신의 아들다운 용기와 지성을 겸비한 용사로 전 ... 이들을 하루의 반은 지하에서 또 나머지는 지상에서 함께 있을수 있도록 해주었고 이들을
별자리
로 만들어 형제의 우의를 기념했다고 전해진다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람'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엄언히 개인적인 견해에 불과하다. 하지만
별자리
를 찾아 보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어서 초보자에게는 자상하고 친절한 안내가 절실하다.KAAA가 지닌 결정적인 문제점은 영세성이었다. 재정은 언제나 적자여서 계룡광학연구소에 의지하다시피 했다. 이러한 ... ...
천체사진 촬영법 ㉻ 피지백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방식은 광각렌즈나 표준렌즈를 사용해 하늘 전체의 파노라마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별자리
들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밝고 큰 성운들과 별무리들의 환상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다. 특히 은하수의 암흑성운들과 밝은 영역들을 세밀하게 드러내 보여주기도 한다.그러나 이와같은 피지백 방식 ... ...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중론이다.중학교에 들어가면서 도서관에서 우연히 접하게 된 조그만 문고본이 계기가 돼
별자리
에 관심을 갖게된 조씨는 중학 3년 내내 육안관측을 중심으로 하늘의 신비를 한껏 감상했다. 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4인치 반사망원경을 거금(당시 10만원)을 들여 구입하면서 '관심'을 '탐구'로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같이
별자리
사진을 점상으로 촬영해야 할 때가 있다.
별자리
의 모양이나 소행성의 위치,
별자리
에서의 행성의 위치 등을 알려고 할 때 별의 광적이 너무 길면 곤란하므로 점상으로 나타내야 한다. 이때 별이 필름면에서 점상으로 나타나는 시간은 초점거리 50㎜ 카메라의 경우 6.88초다. 그러나 이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월에는 밝고 붉은 화성이 자리잡고 있다.이 황소좌의 바로 위쪽에는 또 하나의 재미있는
별자리
가 있다. 이것이 바로 마차부좌로서 오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어 '마차부좌의 오각형'이라 불린다. 이 오각형 안에는 쌍안경으로도 관측가능한 몇개의 산개성단이 있으니 쌍안경으로 꼭 살펴보자.그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