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는 시공간의 양자 상태에 따른 시간여행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간여행이) 물리학자들이 비웃음이나 조롱을 걱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설령 불가능하다고 밝혀 지더라도 왜 불가능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병호 학부장 본인이 그랬다. 부모님은 의대 진학을 바랐지만 본인은 순수 학문인 물리학을 좋아했기 때문에 물리와 가까운 전자공학을 택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회로 설계를 배우면 잘 나갈 수 있다”는 교수님의 조언을 듣고 회로설계로 석사학위를 받았지만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독특합니다. 포플 교수는 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난 뒤 화학자가 됐고, 콘 교수는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거든요. 두 교수는 화학 분야에서 최초로 ‘전산화학’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어요. 전산화학은 분자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서 분자의 에너지 변화나 안정성 같은 화학적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 ...
- 과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를 위해 국내 1세대 과학사학자인 박성래 한국외대 명예교수, 박창범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김홍종 서울대 수학과 교수 등이 연사로 나선다. 좌장은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가 맡을 예정이다. 열린연단 강연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은 홈페이지(openlectures.naver.com)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교수, 2010~2013년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를 역임했고, 2013년부터는 경희대 물리학과 석좌교수로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건 당연! 주인공은 망치를 땅에 찧은 뒤 회전운동을 합니다. 회전운동을 만드는 힘을 물리학은 ‘돌림힘’이라 불러요. 물체를 앞뒤좌우로 움직이는 힘과 구분하기 위해서죠. 오른쪽에서 주인공의 오른손은 몸을 받치기 위해 망치를 땅 쪽으로 누르고, 왼손은 몸을 들어 올리기 위해 망치 위로 힘을 ...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역할을 했지요. 이렇게 수학과 물리학은 상호 교류하면서 발전하고 있어요. Q. 앞으로 물리학과 수학의 융합 또는 협업이 더욱 중요해질까요?많은 학자들은 끈 이론이 통일장 문제★를 풀 수 있는 핵심 이론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이 이론에서 다루는 에너지 레벨이 너무 높아 현재 기술로는 ... ...
- [과학뉴스] 러시아, 소행성 폭파 실험 진행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압력이 발생해 퍼지는 것을 확인했다. 블라디미르 유파 모스크바 물리기술연구소 응용물리학과 레이저시스템 및 구조재료학과 교수는 “향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소행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며 “만약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연구 결과를 활용해 막을 수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과학자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이필진_piljin@gmail.com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컬럼비아대와 코넬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쳐 1998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초끈의 모체라는 M이론의 존재 증명, 다양한 초대칭 솔리톤에 대한 연구, 초끈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