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노키즈존, 헬린이, 잼민이? 어린이는 지금도 차별받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어린이날 100주년을 맞은 지금, 우리 사회는 어린이를 충분히 존중하고 있을까요? 우리나라에는 2010년대 중반 이후 어린이의 출입을 막는 ‘노키즈존’ 가게가 생겼어요. 어린이가 피우는 소란을 막는다는 이유에서이죠. 노키즈존은 과연 어린이에 대한 차별일까요? 노키즈존에 대한 어린이 독자들 ... ...
-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최근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확장한 50년 난제가 해결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보고 연구자를 만나세요. 1973년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생각했어요. 어떤 점 2개도 동시에 여러 선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이퍼그래프’를 그리면서 선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대한민국 최고 수학자와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이 매달 1일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대한수학회]와 [슬기로운 수학생활]에 문제를 출제합니다. 폴리매스 문제를 풀 아이디어나 풀이를 댓글로 남겨 보세요.여러 회원이 함께 고민해 풀다 보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거예요 ... ...
- [취미코딩] 게임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곳, e스포츠 연구실을 가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Gamer LAB이라는 네온사인, 그리고 PC방을 닮은 공간까지.PC방이 아니라 연세대 e스포츠 연구실의 모습입니다. 게이머들이라면 좋아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죠.이곳에 지난 7월 28일, 과학동아 독자 다섯 명이 모였습니다. 모두 취미코딩 우수 참가자였습니다. 직접 견학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이 날의 이 ... ...
- [과학뉴스] 단백질 구조 2억 개 품은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검색으로 모든 단백질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왔다. 구글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알파폴드2(AlphaFold2)’의 성과다. 알파폴드2는 단백질 100만 개의 구조 2억 개를 데이터베이스화했다. 7월 28일 구글 딥마인드는 영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를 발표했다. 단백질은 생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2000년대 초, ‘닷컴버블’이라는 시기가 있었다. 전문가들이 사용하던 인터넷이 일반인에게까지 영향을 주는 PC통신으로 퍼지던 시기. 수많은 연결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던 시기다. 마샬 맥루한이 말했던 ‘지구촌’이 처음 실현됐으며,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감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교과세특을 준비하면서 원하는 학과와 진로를 빨리 정해야 할 것 같은 부담이 더 커진 친구들도 있을 겁니다.그런데 오늘 교과세특 이야기를 들려줄 김채연 고려대 생명과학부 4학년 학생은 “꼭 일찍 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 전공적합성을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해 이번 호에서는 김채연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몬스터를 이겨내라! 서바이벌 게임 만들기 마인크래프트 월드에서 몬스터는 플레이어의 생존을 위협하는 적이에요. 플레이어는 살아남기 위해 적절한 아이템를 사용하면서 숙달된 움직임으로 몬스터를 상대해야 하죠. 몬스터와 싸우는 서바이벌 게임을 만들어 몬스터에 대항하는 플레이어 ... ...
- [화보] 사진보다 더 생생하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과학적인 사실을 글이 아닌 생생한 그림으로 나타내는 사람을 ‘과학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해요. 이미 사라져버린 공룡부터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고대의 생태계, 자세히 봐야만 그 특징을 알 수 있는 동물과 식물까지, 전문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그려내는 것이 과학 일러스트레이 ... ...
- [1교시] 변형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해결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1850년 커크먼은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의 답을 쉽게 찾을 것으로 예상하고 문제를 냈지만 72년 뒤인 1922년에야 미국 수학자 프랭크 넬슨 콜이 완벽히 풀었어요. 그 전까지 여러 수학자가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를 그려 풀었습니다. 여학생들을 점, 한 줄에 서는 여학생 끼리를 선으로 연결한 거지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