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물체를 얇게 만들면 구부러진다는 물리 현상에 착안했습니다. 기존에 쓰던 소재의
두께
만 줄이면 유연한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 거지요.” [고 교수가 개발한 초박막 반도체는 쉽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곡면에도 잘 붙는다. 이를 이용하면 초점이 잘 맞는 카메라는 물론이고 전자 눈도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가장 두껍게 친 경우고, ❺번 상황은 가장 얇게 친 경우다. 즉 ❶번에서 ❺번으로 갈수록
두께
는 얇아진다.❶번 상황은 앞에서 살펴본 대로 수구는 적구가 있던 자리에 정지한다. 하지만 두 공의 *접점이 중앙에서 1°라도 왼쪽에 생긴다면, 수구의 분리각이 90°에 가깝고 공은 오른쪽 방향으로 굴러갈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흡수하는 물질을 이용하면 빛이 사라질 거라는 아이디어다.연구팀은 1μm(100만분의 1m)
두께
의 실리콘 웨이퍼에 빛을 담아둘 수 있는 작은 구멍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웨이퍼에 같은 파장의 레이저 빔 두 개를 비췄다. 하나는 왼쪽에서, 다른 하나는 반대방향에서 오도록 했다. 두 개의 빔은 이동한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리고 팽압이 증가할 때 기공이 열리기 위해서는 공변세포는 안쪽과 바깥쪽 세포벽의
두께
차이, 세포 내부의 미세섬유의 방사상 배열이라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특징이 기공의 개폐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논술하시오.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등 다양한 방법을 써서 만든다. 페인트칠 기법은 전투기 표면에 발라둔 전파흡수 물질의
두께
역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로봇팔을 이용해 매우 정밀하게 작업한다.두 번째는 전투기의 몸체를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와 모양(RAS·전자파흡수구조)으로 만드는 일이다. 비행기 몸체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햇빛을 되돌려 보내자고 했다. 같은 연구소의 에드워드 텔러는 1997년에 마이크로미터
두께
의 알루미늄을 촘촘하게 엮어 띄우자는 제안을 했다. 하지만 차단막을 어떤 디자인으로 어디에, 몇 개를 놔야 하는가.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들은 1992년 면적이 100m2인 거울을 5만 5000개 띄우면 된다고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통과하지만 평생 동안 한개가 반응을 할까 말까 한다. 1광년
두께
의 강철이 있다고 해도 중성미자는 대부분 쉽게 통과한다. 그래도 아주 드물게 중성미자가 물질과 충돌하기도 한다. 중성미자 검출기는 이 반응을 이용해 중성미자의 존재를 확인한다. 아이스큐브는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는 것을 막는다. 근육이 움직이지 못하면 점점 퇴화해
두께
가 얇아진다. 턱 부위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턱을 갸름하게 만들 수 있다. 주름을 만드는 근육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근육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 주름이 더이상 생기지 않는다. 성형 목적 외에도 눈을 지나치게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충분하다. 물론 이 성능은 세계 최대의 쇄빙선인 러시아의 ‘승전 50주년 기념호’가 2.8m
두께
의 빙하를 깨는 데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하지만 승전 50주년 기념호는 배수량이 2만 5840t으로 아라온 호의 네 배 가까이 되는데다 추진력이 강한 원자력 에너지를 쓴다. 아라온 호의 쇄빙 능력은 배수량이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종이는 접으면 접을수록 점점 단단해진다. 얇았던 종이가 겹쳐져
두께
가 기하급수적으로 두꺼워지면서 휨강도(휘거나 구부리려는 외부 압력에 견디는 힘)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이는 접을수록 점점 접기가 어려워지는 반면, 튼튼하고 안정해진다. 처음부터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