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강력하게 박혀있는, 파도의 첫 번째 원인은 지진일 것이다. 2011년 일본 대지진과 초
대형
쓰나미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아무도 파도인지 모르고 있지만 밀물 썰물을 만드는 기조력(달과 태양의 중력이 지구의 바닷물을 끌어당기는 힘) 역시 조석파라는 파도를 만든다. 밀물과 썰물도 거대한 파도의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마하4의 속도로 초음속비행을 하다가 방열판 풍선을 부풀려 마하2.5까지 감속한 다음,
대형
낙하산을 펼쳐 바다에 무사히 착륙하는 게 목표다. NASA는 이번 비행이 성공하면 향후 화성 등 행성표면에 유인우주선이나 탐사로봇 등 무거운 화물을 지금보다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때문이다.유럽 입자 물리학연구소(CERN)는 LHC(거대강입자가속기) 이후 프로젝트로, 초
대형
전자 선형 가속기인 ILC를 추진하고 있다. ILC는 스탠퍼드선형가속기 보다 4배 이상 높은 에너지로 전자를 가속해 다시 고에너지 광자를 만들 수 있다. 이것이 실행된다면 광자 충돌 실험에 새로운 장이 열릴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올랐다. 1988년에는 ‘재미있는 물리여행’을 출간했다. 이 책을 계기로 전국의
대형
서점에 교양과학 매장이 따로 생겼으며, ‘재미있는 여행 시리즈’가 계속 나왔다.김영사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다. 꽤 많은 과학책을 내고 있는데도 인문·과학 팀에 이공계 전공자가 없다. 큰 어려움이 있을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대중에게 많이 사랑받는 책은 아니다. ‘과학은 어려운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대형
서점에 가도 과학서적 코너는 늘 한산하다. 사이언스북스는 그런 대중과 과학을 가깝게 잇는 노력을 17년 동안 해왔다. ‘과학의 대중화, 대중의 과학화’라는 모토답게 이들은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과학을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국가의 규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계기가 됐으니까요.”송 작가는 이제 인공위성 발사라는
대형
프로젝트를 마무리 하며,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열리는 전에 그 뒷이야기를 전시 중이다. 그의 작품은 예술에 대한 관점을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미술계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 기술을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불과 몇 분만에 날아갈 수 있다. 가정에서도 창문만 열면 음식을 받을 수 있다.미국의
대형
온라인쇼핑몰 아마존은 2013년 1월 배달용 드론 ‘옥토콥터’를 공개했다. 홈페이지에서 주문하면 약 2.7kg이하의 물건을 30분 이내에 배달해 줄 계획이다. 제프 베저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4∼5년 안에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정확하게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했는데, 이것이 바로 탈진기(escapement)다. 왼쪽 그림은
대형
시계에 널리 이용됐던 핀휠 탈진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탈진기는 진자와 연결돼 있다. 진자는 진폭에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로 흔들리므로(등시성) 탈진기도 일정한 간격으로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건물인 알다르헤드쿼터스빌딩도 아부다비에 있다. 그리스 신화의 비너스가 태어난
대형
조개처럼 바닷가에 우뚝 서 있다. 높이는 110m, 외곽이 모두 유리창인데 축구장 4개를 덮을 정도다. 놀랍게도 원래는 바다였던 곳에 30개월 만에 지어졌다. 알다르헤드쿼터스빌딩은 부동산 개발 업체인 알다르가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상당부분 파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작지만 의미 있는 두 번의 분출두 차례
대형
분출을 겪은 울릉도는 2000년간 잠시 쉬다가 9000년 전 다시 꿈틀댄다. 이 때 나리분지는 상승하는 마그마와 칼데라 내 지하수가 반응하면서 폭발성 수성분화를 여러 차례 겪는다. 그 후 잠시 쉬다가 많은 양의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