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d라이브러리
"
단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평면과 구면, 쌍곡면 총 3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구면이란 구의 표면이다. ‘구’라는
단어
가 들어가니 당연히 3차원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구면 위에 있는 개미는 자신이 있는 공간을 2차원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이렇게 분류한다. 우주는 3차원 구 모양?앙리 푸앵카레는 우주의 모양에 대해 ... ...
[폴리매스 프로젝트] 고른 순서쌍 찾고 핑순이와
단어
놀이 한 판!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모두 음모!”라며 전혀 믿지 않아요. 현재 영어사전에는 ‘flat-earther’란
단어
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 또는 ‘이미 잘못이 증명된 이론을 고집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실려 있답니다.“우리가 있는 곳을 알아냈어요! 우리가 있는 곳은 마리아나 해구 근처의 섬이에요!”오로라와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다.“자연, 문화, 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비’만큼 주관적인
단어
가 또 있을까. 올해 한반도는 가뭄과 홍수, 즉 비와 관련된 두 재난으로 곳곳에 상처를 입었다. 그러나 해가 바뀌면 분명 촉촉하고 싱그러운 봄비를 시작으로 경이로운 생명 탄생이 또 다시 시작될 것이다.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세계의 연구실 소개는 덤!3. 강화된 검색 기능! ‘퀵서치’와 ‘상세 검색 필터’●검색
단어
를 입력하면 곧바로 이미지와 기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더 편리한 검색 조건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새로워진 디라이브러리 보기dl.dongascience.comPC 오픈 8월 1일 (화)모바일 오픈 8월 10일 (목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뭐길래 도킨스가 이토록 입에 침이 마르게 칭찬했는지 사뭇 궁금하다. ‘전략’이라는
단어
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ESS는 경제학의 게임 이론을 동물 행동 연구에 도입해 만들어진 진화 게임 이론에서 주춧돌을 이루는 개념이다.진화 게임 이론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게임 이론이 난데 없이 ...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보여 주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해요. 그 다음 연결망에서 해당 이미지와 강하게 연결된
단어
들을 찾아내지요. 여기에 문장을 완성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인공지능은 장면에 어울리는 대사를 만들어낸답니다.인공지능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구글은 작년 6월 ‘마젠타 프로젝트’를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앞에 나온 다섯 줄과 각각 계산해 평균을 내보고 정확도를 비교했다. 그리고 문장에 쓰인
단어
수가 비슷한 경우도 고려해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가사를 추천하도록 했다.딥비트는 기존에 있는 가사 중에 발음이 어울리는 가사를 추천하기 때문에 가사의 뜻은 어울리지 않을 수 있고, 영어와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실행시키면 여러 블록들을 볼 수 있어요. 이 블록들은 일종의 ‘
단어
’랍니다. 이
단어
들을 나열해서 완성된 ‘문장’을 만들면 소프트웨어가 이 문장대로 동작하는 거죠.그림이 움직이는 간단한 코드로 예를 들어 볼까요? 그림이 움직이는 코드는 ‘사용자가 시작 버튼(깃발 모양 버튼)을 누르면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조합)와, 농도에 따라 냄새가 정해진다. 그래서 단 26개의 알파벳으로도 만들 수 있는
단어
가 무한한 것처럼 후각수용체의 조합을 통해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사람이 구분하는 냄새의 수는 약 1만 가지다.맥건 교수는 후각수용체의 수보다 오히려 각 후각신경구에 있는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