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못한 난관에 부딪혔을 때, 필요한 지식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하죠. 이런 능력을 갖춘 사람을 ‘생각의 힘’을 가진 인재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너무나 많은 가능성을 가진 어릴 때 꼭 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봅니다. 과학자든 소설가든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지는가와 상관없이 ... ...
- [에디스 퍼즐 마법학교] 진실의 책, 베루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책 속으로 한 걸음 들어가자 목소리가 들렸어. “진실의 책은 미션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적절한 반을 배정하죠. 마지막 미션입니다. 알파벳을 조합해 자신의 반을 확인하세요.” 마법처럼 나는 강당 앞에서 베루스 위에 손을 올리고 서 있었고, 책 위에는 ‘SINGI’라는 ...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능력치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지? 백신의 능력치를 ‘효능’이라고 불러. 뉴스에서 백신의 효능이 94%, 95%라고 말하는 걸 들어봤을 거야. 지금부터 이 수치가 어떻게 나왔는지 알려줄게. 백신을 개발할 때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시험을 한 후에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합니다. 두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증가된다고 했지요.그래서 디지털에 대해 잘 알고,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르는 일이 중요해요. 단어를 알아야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디지털 기술을 알아야 다른 사람과 협력하고 디지털 자료를 만들어내는 등 현대 시대를 ‘만렙’으로 살 수 있거든요. ... ...
- [과학뉴스]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빠르게 달리면서도 목과 눈의 움직임을 잘 조절해 물체를 놓치지 않고 바라보는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그동안 초식 공룡으로 알려진 테코돈토사우루스가 도마뱀이나 소형 포유류 등을 사냥하는 데도 소질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벤톤 영국 브리스톨대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그러다 보면 구역의 경계를 만날 수도 있습니다. 이 구역벽과의 만남이 광자력계 그물의 능력을 검증해줄 것입니다. 광자력계 그물로 구역벽의 모양과 밀도 등을 측정해 상관관계를 알아내면 암흑물질의 단서를 잡을 수 있습니다. 광자력계 그물로 암흑물질 대어 낚는다광자력계 그물은 그물을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돌리지 못한 체르노빌은 여전히 통제구역으로 남아있다.식물이 가장 먼저 놀라운 능력을 발휘했다. 이들은 방사능에 적응하고 생존할 방법을 찾아냈다. 방사능 오염 지역에서 자라는 콩은 중금속에 결합해 식물을 보호하는 단백질을 일반 콩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역경에 맞서는 특별한 ... ...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 있죠. 야구는 다른 스포츠에 비해 숫자로 표현되는 기록이 굉장히 중요해요. 선수의 능력을 수치로 나타내기도 쉽죠. 어떤 선수가 실력이 얼마나 좋은지 객관적인 숫자로 말할 수 있어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수들의 경기력을 분석하고 상대팀을 이길 수 있는 전략을 짠답니다. 없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아, 가, 감사합니다.”멋진 자세에 우아한 태도, 소문이 자자할 정도로 뛰어난 능력! 페가수스 호 역시 새하얗고 세련된 최첨단 우주선이었지요. ‘저런 분과 함께 일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어!’딱지는 오래전부터 페가수스 선장과 함께 일하기를 꿈꿔 왔습니다. 수석으로 졸업한 지금 그 꿈이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풀지 못할 겁니다. 그래도 저는 수학을 잘한다고 생각해요. 수학 점수가 곧 자신의 능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수학으로 더 넓은 세상을 꿈꾸다 6년 전 남 교수는 자신이 해스킨스연구소에서 배운 내용을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자 고려대학교에 왔습니다. 해스킨스연구소에서 한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