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초리
시선
눈꼬리
관심
주의
눈
d라이브러리
"
눈길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일본이 현재 개발중인 신세대 로봇들을 '아사히과학' 최근호가 소개했다.이 가운데 가장
눈길
을 그는 로봇은 인간과 같이 두다리로 걷는 직립2각(脚)보행로봇이다. 로봇이 만약 두다리로 서서 걷는다면 영화에서나 가능했던 인조인간이 등장하는 것도 시간문제다. 로봇이 두다리로 서기 위해서는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건너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위치를 확인해보자. 쌍둥이 자리에서 약간 동쪽 방향으로
눈길
을 돌려보자. 만일 쌍둥이자리를 찾지못하는 독자라면 시리우스에서 북동쪽으로 조금 멀리 떨어져 있는 것만 확인해도 좋다. 이 조건만 만족한다면 이 별은 틀림없는 목성이다. 천체망원경을 갖고 있는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많이 가미돼 있었다. 아미타불 문주보살 등 그럴싸하게 이름붙여진 석회암 종류석들이
눈길
을 끌었고 산호석도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동굴탐사 후 온천관광도시 벳푸로 이동했다. 소문대로 벳푸는 아름다운 항구도시였다. 관광객들도 꽤 많이 눈에 띄었다. 벳푸 역시 활화산인 벳푸화산을 배후에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특히 동아시아 여러 나라중 조선에서만 제작되었고 판을 거듭해 나갔다는 사실이
눈길
을 끈다. 우리 과학사에 나타나는 전통의 계승과 단절, 그리고 조화와 공존의 병행이 첨단지식을 과감히 수용하는 과정에서 큰 마찰없이 전개돼 나가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천하도와 곤여전도의 공존.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지방분자를 합성 제조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효소를 비교연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눈길
을 끄는 것은 흔히 LPL이라 불리는 지(脂)단백질 리파제(lipoprotein lipase). 이 효소는 섭취한 음식물 중에서 지방산을 추출하여 그것을 지방세포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연구자들은 인간과 다른 동물의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의 효과를 나타낸다.나도선 유향숙박사팀의 림포톡신(lymphotoxin) 대량생산 기술개발도
눈길
을 끈다. 암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림포톡신을 유전공학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이 연구는 미생물, 특히 대장균을 이용한 생체유용물질의 대량생산 기술을 확립하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박사, 캐나다 콜럼비아대학 김현옥 교수(식품공학) 등 여성과학자가 10여명 참석해
눈길
을 끌었다.74년 처음 시작된 한민족 종합학술대회는 81년까지 매년 개최되다 81년 이후에는 3년에 한번씩 열렸다. 그동안 이 대회를 계기로 모국에 유치한 해외과학자수는 1천여명에 이른다. 이들 유치과학자들은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6점의 전시물이 모두 빼어난 도자기들인데도 불구하고 단 하나 이 오리모양토기가 나의
눈길
을 끌었다. 이 토기를 자세히 살펴보다가 나는 토기가 도자기기술의 출발을 상징하고 있다고 생각했다.그 토기 한점은 마치 하얀 종이에 점 하나를 깨끗이 찍은 그림과 같이 깊은 인상을 주었다. 실제로 ... ...
인류 최초의 조상은 그리스에서 살았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에나멜질이 두껍게 형성돼 있는 점과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가 해부학적으로 비슷한 점이
눈길
을 끌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둘사이의 선조-자손 관계를 확정짓기에는 자료가 부족했다.최근의 발견은 이런 점에서 의의가 크다. 얼굴과 위턱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 훌륭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 ...
-4℃에서 물을 얼게 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바 없습니다."아무튼 한박사팀이 개발한 냉매는 생물학적 냉매라는 점에서 우리의
눈길
을 끈다. 지금까지 주로 쓰이던 프레온 등 화학적 냉매의 '독'(毒)으로부터 우리 환경을 보호하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