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d라이브러리
"
논란
"(으)로 총 1,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책임연구원은 “팜유에는 토코페롤과 같은 유용한 성분도 들어 있어 영양학적 측면에서
논란
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공치즈는 이 둘 사이에 있다. 제조 과정에서 자연치즈의 숙성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이 자연치즈보다 적게 들어 있다. 하지만 섬유소나 비타민처럼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더 빨라져야 한다. 현재 연구소는 어느 쪽이 원인인지 밝히고 있다.새로운 실험 결과도
논란
에 가세했다. 20일 뒤인 3월 16일, 같은 연구소의 다른 팀에서 따로 중성미자의 속도를 잰 뒤 ‘빛보다 빠르지 않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카루스(ICARUS)’ 팀이 진행한 이 실험은 작년 10월 21일부터 11월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러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기술 시험이 목적인지 위성 발사가 목적인지 불분명한 게
논란
의 핵심이다.광명성 3호 추적과 요격 능력 보유 여부도 중요한 과학기술 이슈로 불거졌다. 대륙간탄도미사일 같은 고고도 장거리 미사일은 이지스함과 정찰기 레이더로 추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대표적인 예입니다. 아나멘시스를 인류 조상의 세 번째 후보로 볼 것인지는
논란
이 많습니다. 직립보행 흔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다른 여러 특징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 많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비슷한데 과연 아나멘시스를 새로운 종으로 굳이 구별하는 것이 옳을까요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큰 원전 사고인 일본 후쿠시마 사고가 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
과 에너지 대안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더 안전한 차세대 고성능 원전 개발부터 소형화와 집적화를 통해 새로운 활용처를 찾으려는 시도까지, 원전 연구의 최전선을 점검해 봤다.“선박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325m2이고, 여기서 나오는 열은 근처 호수의 물로 식힌다.]2023년 인공 뇌 완성될까이
논란
은 라이벌 과학자가 경쟁 연구에 대해 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다. 마크람 박사는 슈퍼컴퓨터로 사람의 뇌를 만드는 게 목적인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의 책임자다. 재미있게도 블루 브레인도 IBM의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익숙하지 않은 노인층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선거의 해인 올해 지속적인
논란
이 될 전망이다. 현실에 맞게 장기이식법 개정해야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김대연 교수팀은 선천성 희귀병을 앓고 있던 조은서 양에게 7개의 장기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올해 7살인 조 양은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중국어 방은 인공지능 문제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
을 일으켰다. 이 사고실험에 대한 반박도 있었지만,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기대가 시들해진 건 사실이었다. 그 대안이 초기 컴퓨터과학자들이 관심을 뒀던 인공신경망이었다. 인공신경망은 뇌의 구조와 기능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바이러스가 공기 감염 능력을 얻는 데는 최소 다섯개의 돌연변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논란
을 의식해서인지, 푸히르 교수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정확히 어느 부위에 돌연변이를 시키면 되는지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푸히르 교수가 공개한 10회에 걸친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존엄사가 인정된 이후 의사와 보호자 사이에 이런 상황이 종종 벌어진다. 존엄사
논란
은 197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뉴저지의 스물한 살 카렌 앤이 식물인간 판정을 받았다. 그녀의 부모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데 생명을 연장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것이라며 호흡기를 뗄 것을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