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음을 경고했지만 쇠귀에 경읽기였다”고 한탄했다. 시 교수는 “이번 지진의 진앙지
남쪽
의 지각판에 응력이 축적되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며 “또다른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사실 하와이에 위치한 태평양 쓰나미 경보센터(PTWC)도 1946년 4월 1일 알래스카의 알류산 열도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등이 있다안드로메다 자리의
남쪽
에 위치한 가을철의 작은 별자리 세 개의 3등성이 가늘고 긴 직각삼각형을 그린다그리스의 히파르코스 시대부터 있던 별자리로 나일강의 삼각주를 상징하는 것이다 은하계 외성운의 대표적인 성운으로 은하계와 안드로메다 대성운 등과 함께 국부성운군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것이 둥그렇게 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맥홀쯔혜성은 밤하늘 중앙을
남쪽
에서 북쪽으로 가로지르는 궤도를 갖고 있다. 1월 초순 황소자리 영역에서 시작해 1월 하순까지 페르세우스자리로 이동한다. 그후로도 이 혜성의 북상이 지속돼 3월 8일 경이 되면 북극성 주변을 지나가게 ... ...
겨울에 찾아온 반가운 손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좀 더 따뜻한 우리나라를 찾아 내려오는 것이죠. 그런데 왜 우리나라보다 더 따뜻한
남쪽
나라로 가지 않을까요?겨울철새들은 날씨가 너무 따뜻하면 오히려 적응을 못해요. 일반적으로 새들은 사람의 체온보다 3~4 ℃ 높아요. 우리나라보다 더 따뜻한 곳에서는 체온이 너무 올라가 죽을 수도 있거든요.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직선 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 직선을 무한원직선이라고 한다가을철
남쪽
하늘에서 페가수스자리의 사변형에 근접해 있는 별자리 명확한 항원과의 접촉이 없이 냉한·온열·광선·운동 등 기압의 변화나 전선의 통과 등도 포함하는 기계적·물리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알레르기의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1월 5일 울산 앞바다 동
남쪽
58km 해상에서는 ‘동해1 가스전’이 준공됐다.한국이 드디어 첫 유전 시설을 완공하며 마침내 산유국의 대열에 들어선 것이다. 1964년부터 국내 대륙붕 탐사를 시작한 이래 40년만의 결실이었다. 한국은 세계에서 95번째로 산유국의 반열에 올라섰다.천연가스 500만t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 가장 밝은 것은 바로 동쪽 옆에 위치한 NGC 2024이며, 말머리성운을 포함한 성운은
남쪽
방향으로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망원경으로 보일 듯 말 듯 말머리성운은 암흑성운이어서 맨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실망할 필요는 없다. 이 성운말고도 이 지역은 흥미로운 대상들이 많이 있기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해령,
남쪽
은 플레미시캡의 북동쪽 연장선에 의해 뉴펀들랜드 해분에 접한다북쪽에
남쪽
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져 깊이는 4,000m를 넘는다고분자고체의 분자사슬축에 대해 직각방향의 응집(凝集) 질서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 J A 휴스먼과 W A 시슨이 제창한 3차원적 결정(結晶)의 규칙성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작은 26개의 산이 도시를 둘러싸고 있을 뿐 아니라 서울 북쪽 외곽을 이루는 북한산과
남쪽
외곽을 이루는 관악산 사이에 많은 구릉과 산악이 산재해 있으며 토지의 기복이 심하다. 서울은 이같은 자연조건의 특성상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이 쉽지 않아 국지적으로 정체된다.게다가 서울은 건물과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아니라 남동풍이 분 소백산맥과 지리산에도 강한 수렴대가 형성됐다. 실제로 소백산맥
남쪽
의 영주, 예천, 상주 등지에도 다른 지역보다 많은 1백mm 안팎의 비가 내렸다.올해 발생한 태풍 ‘메기’와 ‘송다’는 자료가 아직 나오지 않아 분석하지 못했지만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영동지방에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