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씨"(으)로 총 1,5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춥지 않은 만큼 자연 냉난방 기능도 가지고 있지요. 야외무대임에도 지붕이 있어 날씨가 안 좋아도 공연을 할 수도 있고요. 하지만 무엇보다도 동굴은 공연의 ‘질’을 높이는 데 아주 큰 역할을 한답니다.콘서트홀에 가 본 적 있나요? 벽면은 울퉁불퉁하고, 좌석은 푹신한 천으로 되 있을 거예요.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매탕 강 상류로 올라가 보트를 타고 강 주변의 자연경관을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날씨와 시기에 따라 물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물의 양을 확인하고 탑승해야 안전한 래프팅을 즐길 수 있다.4 반홍 누알 요리학교태국 현지 음식을 직접 요리하고, 자신이 만든 요리를 시식해 볼 수 있다. 메뉴 ...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날씨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싶어졌기 때문이에요.실제로 바구니를 만들 때 사용하는 구슬과 끈은 색상이나 그 크기가 의미 있는 기상 정보를 나타내요. 이렇게 3차원으로 표현한 기상 정보는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협하는 반 앨런대 반 앨런대의 생성과 소멸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우주날씨와 연관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인공위성에 미치는 고에너지 입자의 영향은 현대와 같은 우주 시대에 반드시 알아내야 합니다. 평소 반 앨런대 외대는 지구 반지름의 3~4배 정도 되는 높이에 존재하는데, ...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오늘 고독한 미식가의 저녁 메뉴는 까르보나라 파스타입니다. 달군 프라이팬에 다진 양파와 베이컨을 노릇노릇하게 볶다 잘 삶은 파스타 ... 됐죠. 수학이라는 도구를 만나서 보편적인 법칙으로 거듭난 만유인력과 닮지 않았나요? 날씨가 제법 쌀쌀한 오늘, 따끈한 국수 한 그릇 어떠신가요 ...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3월 초 영상의 기온에는 옷을 가볍게 입혀 아이가 추위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는 12월 중순부터 1월까지는 손과 발의 보온에 신경 써야 한다.이쯤 되면 시작 부분의 질문에 정답을 알게 됐을 것이다. 난방을 하거나, 두꺼운 옷을 챙겨 입는 것은 당장의 추위를 ... ...
- 웰컴 투 얼음왕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리 왕국은 깜깜한 밤하늘에 오로라가 초록색 커튼처럼 펄럭이는 환상적인 곳이야. 날씨가 몹시 추워서 온 세상이 눈과 얼음으로 가득하지. 성벽과 지붕은 물론, 탁자와 의자, 침대, 심지어 악기까지도 모조리 얼음으로 만들었단다. 얼음 의자에 무심코 앉다가는 그 차가움에 깜짝 놀라 게으름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간 지난 11월 28일은 바로 ‘제103회 인천여고 크로바 예술제’가 열리던 날이었다. 스산한 날씨에도 학교는 왁자지껄 떠들썩한 축제의 열기로 뜨거웠다.펜로즈가 있다는 2층 회의실에 들어서자 달콤한 냄새가 풍겨왔다. 머리에 빨간 공을 단 펜로즈 회원들이 소시지 떡꼬치와 초콜렛 과자를 열심히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독자 기자의 뜨거운 탐구 열기로 추운 날씨마저 한풀 꺾였다는 소문이 돌던데…. 그곳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사람은 곽시종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였다.“수학은 과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어떤 일에서든 꼭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마이크로파를 지표면으로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 차이를 이용해 지형을 파악한다. 날씨나 밤낮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존 아리랑 위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그렇다면 4호는? 4호는 비운의 위성이다. 아리랑 4호에는 지형지물이 아닌 ‘색’을 찍는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었다.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