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d라이브러리
"
공로
"(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MIT서 반(反)노벨상 시상식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돌아갔다. 그는 시간과 자원을 낭비함으로써 진정한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만든
공로
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호명됐다.물리학상 수상자로는 MIT의 토마스 킬이 선정됐다. 그는 '저널'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현존하는 가장 무거운 원소는 하나의 중성자와 8개의 보조 중성자 그리고 35개의 부(副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시도되고 있다.앨빈호가 수소폭탄을 회수하고, 타이타닉호의 사진을 촬영하는데는 숨은
공로
자가 있었다. 무인수중탐사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이 그것으로 소형의 추진기 TV카메라 인공조명등 콤파스 등이 부착된 중량 수십 kg정도의 장치다. ROV가 보내주는 수중상태를 모니터 화면으로 보면서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활동하기도 했다.유기화학물질의 입체구조를 측정하는 핵자기공명분광기술을 개발한
공로
로 화학상을 받게된 리하르트 에른스트 박사(58)는 스위스인으로는 다섯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된다. 그가 이론적 기초를 닦은 핵자기공명분석법이란 관찰하려는 대상에 강력한 자장을 걸었다가 이것이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로써 우주에 대한 인간의 지식도 크게 신장됐다. 그러나 이를 자세히 밝혀냄으로써
공로
를 인정받은 사람은 할로우 샤플리였다(어쨌거나 그는 남자였기 때문이다).이런 일은 자주 발생한다. 1969년에 조셀린 벨은 맥동성들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발견 덕택에 노벨상을 받은 이는 그녀의 상사였다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하기때문에 격식과는 애당초 거리가 먼 통신수단이었다.전화가 민주주의의 발전에 끼친
공로
가 이럴진대 벨을 링컨의 옆자리에 앉힌다해서 큰 흠이 되진 않을듯 싶다.후기산업사회로 넘어가면서 통신수단은 또 한번 인류의 삶의 모습을 획기적으로 뒤바꿔 놓았다. 컴퓨터의 경이적인 처리능력과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전문업체로 자리를 굳혔다. 강태진씨는 지난해 한글날 한글워드프로세서를 개발한
공로
로 국무총리 표창을 받기도 했다.한글도깨비의 최철룡전문지 기자에서 어느날 갑자기 프로그래머로 사업가로 변신한 도깨비 같은 사나이 최철룡(29). 한글카드가 턱없이 비싸던 시절 '한글도깨비'란 편리한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두고 흔히 '게이지(gauge)이론의 재규격화'라고 부른다. 와인버그는 전약이론을 발전시킨
공로
로 7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또하나 이휘소의 업적은 매혹입자(charmed particle)에 관한 것이다.캘리포니아공대의 겔만교수는 모든 물질과 소립자는 u(업)쿼크 d(다운)쿼크 그리고 전자라는 기본입자로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존 바딘, 월터 브래튼이 바로 그 주인공으로 이 세사람은 1956년에 트랜지스터를 발명한
공로
로 노벨물리학상을 받게된다.이들 중 금년 1월에 세상을 떠난 바딘은 이후 72년에 저온초전도체에 관한 이론확립의 공을 인정받아 노벨물리학상을 또 한번 수상하는 영광을 누린다. 남들은 한번도 어려운 ... ...
리온스(수학) 와일드(의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프랑스 우주연구센터 총재로 있는 리온스박사는 컴퓨터 제어기술의 기초를 세운
공로
를 인정받았다. 오늘날 용광로 화학플랜트 위성제어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 의한 정밀제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편미분방정식과 실제 조건을 기술하는 요소들에 의해 정확히 표현된다. 리온스박사는 60년대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않는 중성미자가 있다는 것이다. 두가지의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공로
로 당시 컬럼비아대학 교수였던 레더만 슈발츠 스타인버거 박사 등 3인은 1989년도에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수상 한 바 있다. 지구로 오는 동안「하이드」로 변해전자와 반응을 일으키는 중성미자를 | 지킬>,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