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그런데 진공상태인 우주에선 공기저항력이 없어 우주탐사선의 속도가 계속해서 빨라져 결국 빛의 속도의 15~20%까지 다다를 수 있어요. 이렇게 프록시마 b 주변에 도착한 우주탐사선은 우리에게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알려줍니다. 연료를 다 사용한 우주탐사선은 행성의 대기로 떨어지는데 그때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bacteria)는 세균을 영어로 표기한 것이다. 바이러스(virus)와는 알파벳 첫 글자부터 다르다. 결국 이들의 관계를 종합하면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유전물질을 갖고 있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많은 부분이 다르다. 우선 세균은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 존재하는데, 이 수용체가 몸에 들어온 물질이 병원체인지, 아닌지 판단을 내린다. 결국 침입 부위로 호중구가 먼저 도착해도,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가 톨 유사 수용체를 통해 침입자를 확인하고 침입자에 대한 공격 개시 명령을 내려야만 전투가 시작되는 것이다.참고로 식사를 할 경우, 입안에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했다. 연구자들은 이에 맞서 백신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발표하고 결국 ‘랜싯’은 2010년 2월 웨이크필드의 논문을 철회하기로 결정했지만, 12년 동안 그의 논문은 백신 반대론자들의 공식 근거로 쓰였다. 백신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까다로운 과정을 거친다. 개발 초기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마지막 단계는 시트르산 회로(TCA 회로)를 통한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서 ATP가 생성된다. 결국 지방이 인체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인 ATP로 바뀌는 과정은 효소의 도움을 받는 화학반응이다. 참고로, 아세틸보효소A는 화합물의 구조상 에너지 보유량이 많아 지방뿐만 아니라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대사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미세플라스틱의 크기에 따라 조사 방법이 다르고 그 결과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아직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정확하게 알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2017년 기준 해마다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950만t이며, 이 중 15~31%가 미세플라스틱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기회를 제안받았다. 그러나 ‘연구실이 문 닫을 때까지 함께 하자’는 리치 교수의 말에 결국 권 부문장은 2012년 그가 건강 악화로 자리를 떠날 때까지 연구실을 지켰다. 권 부문장은 “리치 교수는 학자로서 학문을 대하는 자세부터 인간관계의 맺음과 유지의 중요성까지 가르쳐줬다”며 “이는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카드뮴을 사용한 퀀텀닷 TV를 출시했지만, 이런 이유로 1년 만에 시장에서 철수했다.결국 자발광 퀀텀닷 개발은 원점으로 돌아왔다. 세계적으로 카드뮴을 쓰지 않은 친환경 자발광 퀀텀닷을 만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카드뮴 대신 사용할 주 재료 물질로는 인화인듐(InP)이 가장 유력한, 그리고 ...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돼있습니다. 그런데 착륙하기 전에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로봇의 설계도가 불완전했고, 결국 로봇들은 마치 생명체처럼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진화하게 됩니다. 타이탄의 로봇들은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거듭하며 자의식을 획득했고, 지구의 탐사선이 도착했을 때쯤에는 지구의 중세 시대와 ... ...
- 오가노이드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 수정란이 점차 쪼개지면서 세포 수가 늘어나고, 조직이 되고, 기관이 만들어지면서 결국 생명체가 되거든. 수정란은 5일쯤 지나면 세포가 백 개 정도인 배반포가 돼. 그때부터 세포는 바깥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영양막’이 될 부분과 태아로 발달할 ‘속세포덩이’ 두 종류로 나뉘지. 이중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