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UFO추락사진 사실인가 조작인가
과학동아
l
200011
모형화시켜 조작한 것이다.진짜다1.
지형
- 바위가 많고, 식물이 드문드문하게 성장하는
지형
을 볼수 있다. UFO의 로스웰 추락사건 장소를 묘사했다. 목격자들의 진술과 일치하기 때문에 진짜 UFO다.2. 섬광 - 어둠과 빛이 명백하게 구분되는 섬광은 뉴멕시코주 로스웰의 해질 무렵 발견되는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11
최대한 활용해서 현수교 형태로 건설한 것이지 멋으로 만든 것은 아니다.금문해협은
지형
적으로 흔들림이 많고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 힘에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다리가 필요했다. 이것을 가능케 해주는 방식이 현수교이며 핵심은 주탑과 케이블에 있다. 주탑은 케이블로 연결된 ... ...
우주 건설 작업에 '로봇뱀' 참여한다
과학동아
l
200011
균열 속으로 쉽게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복잡한 장애물도 넘을 수 있어 거칠고 가파른
지형
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시험 로봇뱀은 컴퓨터 두뇌와 전원을 나르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관절 모양은 모두 동일한 모듈로 만들어졌고, 서로 고리처럼 연결돼 있다. 각각의 관절 마디에 모터가 있으며, 이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11
장치로 원거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한쪽 눈앞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주변
지형
과 동료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헬멧에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로 주위 상황을 본부에 보고하며, 의복에 부착된 센서로는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실제로 ‘랜드워리어’(Land Warrier)라는 입는 컴퓨터는 미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10
뱀으로 변한다. 바퀴는 계단에서는 맥을 못추기 때문이다. 또 돌이 많은 울퉁불퉁한
지형
이 나타나면 폴리봇은 네개의 다리를 가진 거미로 변신해 엉금엉금 기어서 간다.“현재 자동차 공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로봇은 주어진 특별한 일만 하도록 설계했으므로, 새로운 일을 시키려면 새 로봇을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9
깜박거리는 효과를 내야한다.또한 비행기에서 보면 사람은 너무 작게 보이므로 커다란
지형
지물을 만들어 눈에 띄게 해야한다. 가능하면 평지에서 눈을 높이 쌓아 커다란 그늘이 지게하면 흰 눈밭에 검은 그림자가 크게 지기 때문에 그냥 사람이 서 있는 것보다 훨씬 눈에 잘 띤다. 그밖에 색깔 있는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09
것인데, 운석이 일정한 비율로 떨어진다고 가정했을 때, 운석이 많은 곳이 오래된
지형
이기 때문이다.며칠간 달빛아래 모이려면 추석 때가 좋다1년 중 가장 멋진 달은 추석의 보름달이라는데 사람들은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을 것이다.어째서 그럴까?사람들은 추석날 달이 1년중 가장 크고 밝다고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08
뒤로는 압력이 커진다. 최종적으로 물이 갑자기 얼음을 뚫고 분출되면 작은 협곡
지형
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유인 화성탐사에 필수화성에서 물을 발견하는 작업은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기도 하지만 미래 유인 화성탐사에 꼭 필요한 것이다. 극지방 이외의 지역에서 물이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08
있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지름이 3백5m에 이른다.이 망원경은 골짜기의 자연
지형
을 그대로 살려서 만든 고정형 전파망원경이다.1974년에는 이 망원경을 통해서 외계인에게 보내는 지구인의 메시지가 우주로 송신되기도 했다.움직일 수 있는 가장 큰 전파망원경은 독일 애펄스버그의 1백m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08
정교한 실험으로 여러 차례 증명된 바 있다. 이를 이용해 지질학자들은 산의 모양이나
지형
만으로 산사태의 가능성을 점칠 수도 있게 됐다.‘사상누각’은 잘못된 표현그렇다면 만약 모래에 물이 첨가되는 경우, 모래의 성질은 어떻게 바뀔까? 미국 노트르담 대학 혼베이커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