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07
몇 가지 새로운 문제를 찾아 해결해냈다.“파스칼 아저씨가 해결한 문제는 뭐예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회전시켰을 때 생기는 입체의 부피를 구해낸 거지요. 이 연구는 위대한 수학자 라이프니츠의 미분적분학 연구에도 영감을 주었지요.”“뉴턴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7
파손한 탓에, 긴 뼈는 빈 파이프처럼 가운데 몸통 부분만 남게 된다. 이때 뼈에는
여러
형태의 이빨 자국이 생긴다. 뼈에 동그라미 혹은 부채꼴 모양으로 패인 흔적이나 구멍이 있다면 갯과 육식동물이 송곳니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송곳니로 뼈를 문 채 잡아당겼다면 패인 자국이 길게 이어질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
이들은 대류 현상에 의해 지면에서 하늘로 이동한다.여름 냄새로 기억되는 것들은
여러
가지다. 기사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비나 흙 냄새를 소개했지만, 누군가에게는 특정 브랜드의 자외선 차단제가, 누군가에겐 짭조름한 바다 냄새가 여름 냄새일 것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모넬 화학지각센터의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607
대부분 수직으로 누르는 힘만 감지할 수 있으니까요. 반면 우리가 개발한 전자피부를
여러
개 이어 붙이면 힘의 방향에 따라 반구 구조가 다르게 변형되면서 촉감이 어느 부위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어지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진짜 손가락처럼 느끼는 전자피부인 셈이죠.” 고 교수는 “절단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
수학동아
l
201607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매우 낮다. 왜 배우는지, 어디에 쓰이는지 모르기 때문이라는 게
여러
설문조사를 통해서 밝혀졌다.그래서 교육부가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실생활에서 수학이 어디에 쓰이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중학교 1학년 2학기에 배우는 통계 수업을 팀을 짜서 과제를 해결하는 팀 ... ...
[인터뷰] 서검교 교수
수학동아
l
201607
사실이라면 이 분야에 미칠 영향이 상당히 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뭔가 찜찜했습니다.
여러
번 검토 작업을 했는데도 말이죠. 결과적으로는 오류를 찾았어요. 그땐 정말 힘들더라고요.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계속 도전해서 꼭 풀어볼 생각입니다.”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학계에 보탬이 되는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
수학동아
l
201607
표현하면 같은 공간 안에 훨씬 더 큰 수를 쓸 수 있다는 뜻이다. 큰 수 만들기 대회를
여러
반에서 실시했다면 모든 반의 큰 수를 모아 큰 종이에 정리해 붙인다. 그런 다음 복도에 결과를 게시한다.사실 아이들이 쓴 수 중에 가장 큰 수를 가려내는 일은 쉽지 않다. 계산기에 9999만 넣어 보아도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
과학동아
l
201607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팀이 만든 줄기세포로,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여러
다른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게 한 줄기세포다. 연구팀은 돼지의 배아가 배반포 시기일 때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했다. 박정규 서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연구팀의 돼지 배아에는 췌장을 만들 수 있는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
과학동아
l
201607
800만km에서 최대 9억2800만km에 이른다. 그럼에도 목성을 탐사하고자 하는 이유는 목성이
여러
가지로 특이한 행성이기 때문이다.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위성도 가장 많은 행성이다. 크기만큼 자기장과 중력도 커서, NASA 존슨우주기지의 미카엘 조렌스키 박사는 목성을 ‘태양계의 진공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
과학동아
l
201607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얇은 막의 위아래층에서 제각기 반사된
여러
파장의 빛이 서로 보강 또는 상쇄간섭을 일으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마찬가지로 광물도 표면에 얇은 결정막이 형성됐을 때 빛의 간섭현상이 일어난다. 사진 속 표본도 침철석 결정이 종유석 형태로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