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04
- 고도에서 풍경을 보듯 몇 걸음 뒤로 물러서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딥러닝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겹겹이 층(layer)을 쌓아 만든 네트워크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딥러닝을 이용해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지능이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이다. 딥러닝의 각 층들은 간단한 연산을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04
- 이 노토수쿠스류가 바로 시모수쿠스다. 시모수쿠스는 노토수쿠스류와 갑옷공룡 사이의 수렴진화를 보여준다. 납작 주둥이의 등장!바다 속에서 탈라토수쿠스류가 헤엄을 치고 육상에서 노토수쿠스류가 뛰어다닐 때, 물과 땅을 오가는 양서생활을 하는 악어도 등장했다. 신악어류다. 신악어류는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04
- 어김없이 사진으로 남았다. 그들을 실제로 만나보자 이해가 갔다. 격의 없는 스승과 제자 사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늘어나는 오염문제 해결할 고도산화공정이 교수의 연구주제는 물이다.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수처리가 전공이다. 수처리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교수는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04
- 비율은 분수와 같은 개념입니다. 분수는 기준이 되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비와 비율을 배우는 도입부에 분수의 의미부터 다시 짚어주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비와 비율을 나타내려면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이라는 2개의 값이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04
- 좋은 기사다. 꼭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최 기자는 정기구독자에게 제공하는 ‘5분사이언스’를 맡아 멋진 인포그래픽으로 탄생시켰다. 보면 탄성이 나올 것이다. 변지민 기자 역시 훌륭한 사회성 기사를 완성했으나 다음 호로 미뤄졌다(과동 기자들은 한 달이 아니라 몇 달을 동시에 산다는 걸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04
- 것 자체가 환상이다. 사건들의 우주는 ‘관계론적인 우주’다. 모든 성질은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통해 기술된다(애덤 프랭크 저 ‘시간 연대기’ 中).한 때 과학자들은 열을 ‘칼로릭’이라 불리는 실체라고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열이 입자들의 운동이라는 걸 알고 있다. 열은 실재하지만, 더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04
- 겁니다. 완전한 구 모양으로 두께가 적당한 걸로요. 너무 오래된 난자는 탈락입니다.”그 사이에 수술실에서는 연구팀이 난소를 살폈다. 그리곤 이 연구사에게 외쳤다. “박사님, 네 개요!” 난소 황체의 숫자였다. 난자는 난포라고 불리는 주머니 안에 들어있는데, 난포자극호르몬이 분비돼 난포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1720년에 만들었어요. 이것은 얼음의 녹는점을 32℉, 물의 끓는점을 212℉로 한 뒤, 두 온도 사이를 180등분 한 온도예요. 사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섭씨온도를 온도의 공식 단위로 쓰고 있어요. 화씨는 미국을 비롯한 극소수의 국가에서만 사용하고 있지요. 화씨온도를 보고 몇 ℃인지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04
- 같은 상황을 봅시다. 그림❸은 도시 사이의 통신 수요를 나타냅니다. 도시1과 도시6 사이에는 2라는 양의 통신 수요가 있지요. 만일 이런 상황에서 그림❹처럼 연결하면, 도시3과 도시4를 잇는 광케이블의 용량은 10(=2+2+3+3)이상이어야 합니다. 도시3과 도시4를 지나는 광케이블 선의 통신 수요의 값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04
- 위해 모둠원 각자가 구한 3반과 10반 사이의 거리를 평균 내 봤습니다. 이 값은 두 학급 사이의 거리를 줄자로 잰 실제 거리와 큰 차이가 없어 모두 깜짝 놀랐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모둠원들은 보폭과 속력을 여러 번 재서 계산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여러 번 시도해야 비교적 정확한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