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뉴스
"
다음다음
"(으)로 총 6,292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의 여덟가지 괴이한 경치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국보 39호인 경주 나원리 5층 석탑 - 이종호 박사 제공 진덕여왕릉에서 나와 높이 9.76미터의 경주나원리5층석탑(국보 제39호)으로 향한다. 천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순백의 빛깔을 간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나원 백탑(白塔)’이라 부르기도 한다. 경주 8괴 중 하나로 들어가는 이유다. 경 ... ...
7척 장신의 미녀 여왕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석장동 금장대 바위 그림 - 이종호 박사 제공 김유신묘에서 하천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경주의 선인들을 만나볼 수 있는 석장동 금장대 바위그림이 있다. 이곳은 경주 시가지의 북서쪽으로 서천과 북천이 합쳐져 형산강을 이루는 곳으로 ‘애기청소’라고 불린다. 물 좋은 곳에 바위절벽이 있어 ... ...
외계 행성 다섯 개 중 한 개는 '지구'스타일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케플러 우주망원경 - NASA 제공 올해 8월 15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고장난 반작용 조절용 바퀴수리를 포기한다”고 최종적으로 밝혔다.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1571~1630)의 이름을 딴 이 망원경은 지구처럼 생물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해 델타2 로켓에 ... ...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
채널A
l
2013.11.01
[앵커멘트]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바이러스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독감이 유행하기 전에 노약자나 만성질환자는 예방주사를 맞을 것을 권하는데요. 이것이 오히려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독감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2~3주 ... ...
“희귀종 유전자 분석은 노화 연구의 지름길”
동아사이언스
l
2013.11.01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 “멸종위기 생물의 게놈을 분석하는 일은 생물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생물학적 정보를 다양하게 축적하면 인간의 질병을 이해하고 나아가 암과 노화를 정복하는 데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죠.” 올해 9월 세계 최초로 ... ...
王의 인생도 새옹지마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서악리삼층석탑의 좌측으로 선도산의 주능선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4대 진흥왕(540∼576 재위), 25대 진지왕(576∼579), 46대 문성왕(839∼857), 47대 헌안왕(857∼861)의 무덤이 있다. 진흥왕릉 - 이종호 박사 제공 신라 24대 진흥왕은 540년부터 576년까지 36년 동안 왕위에 있었으므로 재위 기간은 길 ... ...
민간의 기초연구 지원 부족? 그럼 노벨상은 먼 나라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매년 10월이 되면 '왜 우리나라에는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가'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서는 정부의 투자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기초연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 ... ...
채식하는 피라니아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고양이처럼 갸르릉대며 우는 원숭이, 불꽃무늬를 가진 도마뱀, 채식주의 피라니아…. 상상 속에만 있던 생물이 아니다. 최근 4년간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발견된 441 종의 새로운 생물 중 일부다. 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WWF)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자들이 아마존 열대우림의 생물 조사를 진 ... ...
[청년드림/도시락 토크 CEO와 점심을]박준 농심 대표
동아일보
l
2013.10.29
[동아일보] “작은 역할이라도 끊임없이 기여하라” “라면은 없나?” 28일 점심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농심 본사에 있는 도연관 회의실에서 취업준비생들과 마주 앉은 박준 농심 대표는 대뜸 라면부터 찾았다. 긴장된 기색이 뚜렷하던 참가자들 사이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도연관은 농심의 연구 ... ...
[新 여성시대]2부 전문직여성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동아일보] 김빛내리 교수 “출산후 과학 포기, 사법고시 생각도 했었다”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과학자로 인정받은 경우는 1976년 대한민국학술원 최초의 여성회원이 된 김삼순 박사(농학)가 처음이다. 과학 종주국으로 불리는 영국과 프랑스 과학계에서도 여성을 회원으로 마지못해 받아들인 게 100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