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뉴스
"
지적
"(으)로 총 6,415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N극과 S극이 막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6.24
경우 필요한 자기장을 만들기 위한 전류발생 과정에서 열 손실이 크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
됐다. 이 사실에 주목한 연구팀은 열 손실이 동반되는 자기장 없이 순전히 전기장만으로 자화의 방향이 뒤집히는 새로운 ‘다강체 단결정’ 물질을 합성하고, 그 자화변화의 기본 원리까지 규명하는데 ... ...
똑똑한 원숭이가 군림하는 세상, 실제로 올 뻔했다?
과학동아
l
2014.06.22
이처럼 저자는 “우리의 뇌는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을 정당화할 뿐”이라고
지적
한다. 이미 입력된 고정관념을 지키기 위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새로운 정보를 왜곡하고, 나아가 잘못된 선택 또한 정당화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뜻이다. 이 책은 독일 막스플랑크뇌과학연구소에서 ... ...
사이언스 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14.06.20
육성법과 비교해 내용이 빈약하고 국가 차원의 육성 계획이 전무해 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
이 많았다. 김형건 한국법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주제 발표와 패널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 ...
‘과학’ 사라질까 두려운 출연연
과학동아
l
2014.06.19
살 길을 마련해야 할 중소·벤처기업들의 연구 역량이 오히려 더 퇴보할 것이라는
지적
도 있다. 기업의 생리상 최대의 이익을 추구하려다 보니 연구개발비를 아끼게 되고, 이는 기업들의 연구개발 역량에 도움이 되지 않다는 것이다.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은 18일 설명회에서 ... ...
25개 국책연구소 일괄 관리…과학계 ‘슈퍼기관’ 등극
과학동아
l
2014.06.18
연구회의 기능을 현장과학자들이 다시금 견제할 수 있도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
이다. 연총 관계자는 “과학기술계를 통합 관리하는 것은 현장 과학자들이 희망하던 것이지만 방법에 대해선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통합연구회는 출연연의 관리기관이라기보다 지원 주체로 ... ...
과학 수업 줄어드는데 과학적 소양 키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2014.06.18
이뤄져야 한다”며 이 교수의 의견에 동의했다. 또 정부의 교육 개정이 너무 잦다고
지적
했다.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데 3년, 대학생활을 마치기까지는 4년, 사회에서 자리를 잡는 데 3년이 걸리는데, 이 10년 동안 이들이 공부한 내용이 진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전주기적인 연구를 ... ...
[기자의 눈] 새 리더 바라보는 과학계는 불안하다
과학동아
l
2014.06.17
예상돼 왔다.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와 관련된 성과가 미미하다는
지적
이 잇따르자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1월 신년사에서 "2014년에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많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지난해 말부터 성과 확산이나 상용화 관련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밖에 없는 기간이 꽤 됐을 것이다. 그런데 맷슨 박사는 글을 시작하며 바로 이 점을
지적
하고 있다. 인류는 간헐적 단식에 적응하도록 설계돼 있다는 것. 따라서 몸은 먹을 게 없는 상태가 되면 대사변화가 일어나면서 이에 적응하게 된다. 먼저 에너지원이 포도당에서 케톤체(ketone body)로 바뀐다.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네이처는 미국과 유럽 등으로 시야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
했다. 남미의 축구팬들이 해외에서 활약을 펼치는 남미 축구선수를 지켜봤듯이 과학에서도 해외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 그럼에도 지난해 미국을 찾은 브라질 유학생의 수는 1만1000명으로 ... ...
튜링 테스트 통과한 ‘유진 구스트만’과 대화해보니
과학동아
l
2014.06.13
능력을 검증하는 정도”라며 “튜링 테스트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
했다. ●퀴즈 달인 컴퓨터에 이어 인공두뇌 개발도 가까운 미래에는 유진 같은 챗봇보다는 사람의 언어를 분석하고 이해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알려주는 ‘도우미형 인공지능’이 가장 먼저 상용화될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