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뉴스
"
연구
"(으)로 총 39,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규모 재생에너지 전력 '안심 직접거래'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소규모 발전사업자와 전기사용자의 직접 전력 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의 개요. 과기정통부 제공 소규모 발전사업자와 고객이 전력을 직접 거래할 ... 풀어주고 있다. 이번 6건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30건의 실증특례가 지정됐다.
연구
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지정 현황. 과기정통부 ... ...
전문가들 "다음 대유행 전염병은 독감, 미지의 질병X"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유행 또는 팬데믹을 일으킨 적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지적했다. 살만톤-가르시아
연구
원은 인플루엔자에 대해 "유행 바이러스가 계절마다 바뀌기 때문에 평생 여러 번 감염될 수 있고 백신도 해마다 바뀐다"며 "새 변종이 독성이 더 강해지면 인플루엔자에 대한 통제력을 잃을 수도 있다"고 ... ...
"獨, 코로나 이후 과학자들 더 존중 …자원 부족·고령화, R&D로 극복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연구
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장기적인 협업으로 가는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양국의
연구
기관들이 장기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분야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 방문이 그런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양국이 두루 득을 볼 수 있고 더 많은 부가가치를 생성해낼 수 있는 ... ...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건강하게 유지하기만을 위한 행위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
를 이끈 미셸 루치 로체스터대 교수는 "시각도 다른 감각과 비슷하게 입력되는 신호와 운동 활동의 조합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에 참여한 자르코 살로야르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 교수는 "이번
연구
로 아라비카의 병원체 저항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화합물을 어떻게 설계하고 결합하느냐에 따라 질병 치료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번
연구
는 뛰어난 약효를 발휘하는 신약 개발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여전히 더 많은 자극, 충동 욕구와 싸워야 하죠." 김정연 한국뇌
연구
원 정서인지질환
연구
그룹장은 말했다. 청소년기의 뇌는 발달 과정 속에 있다. 충동을 크게 느끼고 중독에 취약한 특성이 두드러지지만 참는 법을 배우는 노력을 한다면 건강하게 뇌를 발달시킬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 ...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구
실에서나 볼 수 있던 발광식물이 2024년 4월 미국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됩니다. 밤이 되면 자체적으로 빛을 내며 방을 밝히는 식물을 직접 키울 수 있게 된 ... 진행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호,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 ... ...
[표지로 읽는 과학]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등 우선순위가 높은 멸종위기종에서 포유류 보존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구
팀은 "종 보호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산림을 벌목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미 벌목 중인 산림에서는 FSC 인증을 통한 산림 관리가 대형 포유류에게 피해를 덜 주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또 "멸종 위기에 ... ...
1초에 3m나 찍! 매미 소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0
반면 사람처럼 크기가 큰 동물은 소변을 물줄기의 형태로 콸콸 누는 경향을 보였어요.
연구
팀은 매미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사람 같은 포유류처럼 오줌을 빠르게 심지어 가장 빠른 속도로 분사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유리날개명사수’라 불리는 곤충은 한 번에 한 방울씩 튕겨내는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