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우리나라"(으)로 총 6,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난주 토요일에 문경에 사과따기체험하러갔어요~~ 문경은 문경새재로도 유명하지만 사과로도 유포스팅 l20141106
- 지난주 토요일에 문경에 사과따기체험하러갔어요~~ 문경은 문경새재로도 유명하지만 사과로도 유명하다고 하네요^^ 오는길에 문경새재자연생태박물관에 가서 여러가지 동물들을 박제한것,나무로 동물을 조각한것,재생에너지에 대한 것,야생화들의 사진들,우리나라 토종 민물고기들과 같은것들을 볼수 있었답니다~~ ...
-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맞이하여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태극기 휘날리며~~~기사 l20141103
- 이번에 더 심오한 뜻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우리들이 앞으로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함이였어요. 우리나라 태극기를 보고 가슴 뭉클해짐을 느꼈고,독립을 위해 순국하신 분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여러분들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방문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김포 가현초 ...
- 여기는 부산 벡스코!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이 사작되었습니다~^^. 오늘부터 8일까지 열리니까탐사기록 l20141103
- 여기는 부산 벡스코!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이 사작되었습니다~^^. 오늘부터 8일까지 열리니까. 꼭 한 번 취재하러 오세요~^^. 우리나라 여러 국가연구기관도 엄청 많이 있구요. 전국에 굉장히 많은 학교들이 참가해서 각종 부스에서 체험교실을 열고 있답니다 ...
- 다같이 돌자 정동한바퀴! 정동한바퀴기사 l20141101
- 지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하지만 우리나라의 생각은 땅속은 관, 즉 죽은사람이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이다.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 전통 건축은 지하가 없다.그다음, 다시 중명전으로 돌아왔다. 돌아온후 여러가지 설명과 지도에 스탬프를 찍는등여러가지 재미있는 일을 하고 마쳤다.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에 신청하길 정말 잘한 것 같다 . ...
- 정동제일교회 한국인 건축가 심의석과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교회. 이 교회의포스팅 l20141101
- 합니다. 배재학당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근대교육기관 벽돌을 사용하고 반지하도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나무로 지상건축만 했었다고 해요 우리나라 최초의 삼문출판사를 운영해서 가난한 학생도 삼문출판사에서 일하여 번돈으로 수업받을 수 있게 했다고 합니다. 이승만,김소월,주시경 등의 졸업생이 있었습니다. 사진 속 교육이념이 멋집니다 .. ...
- 유네스코 문화유산 런닝맨에 기자단을 초대합니다~!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의 날기사 l20141028
- 5년인 1405년에 건립한 우리나라 대표 궁궐이 무엇일까요? 바로 사적 제122호로 보호하고 있는 ‘창덕궁’이랍니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된 창덕궁에서 아주 뜻 깊은 행사가 열립니다. 행사 이름은 바로 이에요. 문화재청장님이 직접 수여하는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인증서 수여식과 함께 ...
- 지금 읽고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문화재로 배우는 근대이야기" 덕수궁 다녀와서 더 관심갖포스팅 l20141027
- 지금 읽고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문화재로 배우는 근대이야기" 덕수궁 다녀와서 더 관심갖게된 우리 역사~ 이번 주말에는 서대문형무소 갈거라서 일제시대와 의병활동에 관한 책도 빌렸어요. 우리 근대사는 가슴 아프지만 역사를 바로 알아야 앞으로 우리 문화재와 우리나라를 지켜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
- 우리문화재, 우리가 지킵시다! ‘2014년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7
- 위례역사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문화재 보존에 큰 도움을 주고 있었습니다. 임재해 교수님은 특강에서 한글의 소중함과 가치, 우리나라 문화재는 우리 손으로 지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셨습니다. 3부 어울 마당(체험행사) 어울 마당에서는 지킴이 부스 관람 및 체험, 어울림 축제가 열렸습니다. 파주율곡고 부스에서는 독도지킴이 나무 악세사리와 문화유산 ...
- 문화재의 힘, 그리고 문화재를 지켜야하는 이유 2014 안동 문화재지킴이 전국대회를 다녀와서기사 l20141023
- 열리는 한문화재 한지킴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서 지난 주말에 다녀왔습니다. 행사가 열리는 안동은 문화재가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은 곳이기고 하기도 하고, 또 정신문화의 수도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첫날의 행사에서 문화재 지킴이 운동에 힘쓴 각종 단체가 수상을 하고 사례발표를 했는데정말 느끼는 게 많았습니다. 연세가 많으신 분들은 3~4명씩 ...
- 불행한 숫자 4와 13 불행한 숫자기사 l20141022
- 와 13은 대표적의로 불행한 숫자다.4는 한자 죽을 사를 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옛날 이야기로 죽을 사를 내보내대문에 걸었던 사람이 죽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그리고 13은 서양에서 존재한 이야기 때문에 불행한 숫자가 되었다.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이다예수님이 죽기 전 마지막 순간에 먹었던 만찬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여기서 예 ...
이전5945955965975985996006016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