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열어 광합성을 계속한다.그런데 C4벼를 만드는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몇 가지 해결할
점
이 있다. 일반적으로 광합성 측면에서 보면 C4식물이 C3식물보다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쌀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굳이 C4벼를 만들 필요는 없다. 현재 재배중인 다수성 품종으로도 충분하기 ... ...
제26회 기상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자연현상을 포착하려는 응모자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응모한 2039
점
가운데 총 50
점
이 입상했으며, 수상작은 순회전시회를 통해 전국에 선보일 예정이다.모든 입상작은 기상청(www.kma.go.kr)과동아사이언스(http://www.dongascience.com/info/mphoto26.asp)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순회전시 ...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막을 순 없다. 복잡한 개인 정보 전쟁터에서도 방어의 핵심은 기본적인 `문단속이란
점
을 잊지 말아야 한다.강동현 주임연구원은 동명정보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했다. 네트워크 보안업체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으며, 현재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분석1팀에서 소프트웨어 배포 방법과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반사율이 가장 큰 천체로 사진에서도 눈에 띄게 반짝인다. 각 천체 오른쪽에 보이는 검은
점
은 그림자다.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미마스’가 있다.사실 토성의 고리 평면이 우리 시선과 정확히 일치하는 때는 올해 8월 10일과 9월 4일이다. 하지만 이때는 토성이 태양과 너무 가까워져 지구에서는 볼 ...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중심으로 공학자 출신 임원의 비중이 늘고 있고 과학자나 공학자 출신의 CEO도
점점
증가한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이공계 기피 현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공계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고 그나마 있는 우수 인재들은 해외연구소나 외국 기업으로 빠져나간다.‘세계를 이끄는 한국의 창조적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미자르는 처음 발견된 쌍성이다. 놀라운 사실은 미자르A와 미자르B도 각각 쌍성이란
점
이다. 미자르는 실제 사중성인 셈이다. 이처럼 세 별 이상으로 구성된 다중성은 하나의 쌍성이 이웃한 쌍성과 다시 쌍을 이뤄 서로 공전하는 식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러시아 천문학자 안드레이 토코비닌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어떤 물체가 얼마나 튼튼하고 약한지 궁금할 때에는 일부를 떼어내 부숴보는 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겠죠. 하지만 이렇게 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 구조물을 온전 ... 같은 곳이다. 공학에 기초해 관심 분야를 넓히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이 참 많다는
점
을 깨달았으면 한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 ④ > ② = ③. 2)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돼 C
점
에서 레일과 주고받는 수직항력(N)이 존재하면 C
점
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 ...
[화학]용액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문제 3)의 헤모글로빈 수용액은 몰농도(M)와 몰랄 농도(m)가 거의 같다. 이 수용액의 어는
점
내림(△Tf)을 물의 몰랄내림상수(Kf) 1.86℃/m을 이용해 계산하면 △Tf = Kf·m = 1.86℃/m·(5/68000)m = 0.00013℃로 매우 작은 값이 나온다. 이런 미세한 온도차는 온도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Mw = (1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같은 정보를 알 수 있는 장
점
이 있다. 그러나 행성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단
점
이 있다. 이 때문에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된 후보별은 시선속도 방법으로 추가 관측해 질량을 확인한 뒤에야 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가 외계행성인지 갈색왜성인지 구분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별이냐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