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우주 거주 4반세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고독한 우주생활이 시작된지 226년이 흘렀다. 최초로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바꾼 살류트
이후
스카이랩과 미르는 인간을 우주인으로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그동안 우주정거장에서는 인간의 우주적응실험은 물론 동물교배실험, 식물재배실험 등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다. 또 지구에서는 ... ...
1. 우주정거장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나타난다. 미르는 1995년 6월 미국의 우주왕복선 애틀랜티스호와 처음으로 조우(도킹)한
이후
최근까지 7차례에 걸쳐 조우했다. 1998년에는 디스커버리호를 이용해 2차례의 조우가 더 이루어질 전망이다.러시아 우주정거장과 미국 우주왕복선의 조우는 양국의 매우 다른 우주기술방식을 연결하는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가격도 크게 떨어지고, DVD 영화도 어느 정도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어 내년 중반기
이후
시장 상황을 보고 구입하는 편이 좋다.모뎀체크 포인트 : 자주 사용하는 통신망의 프로토콜 확인부터고속 모뎀보다는 ISDN 노려라인터넷 붐과 함께 모뎀 시장도 급성장했다. 모뎀은 PC통신이나 인터넷을 ... ...
4. 21세기 국제우주정거장 알파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그리고 우주선이 도킹할 수 있는 우주정거장의 초기 몸체가 포함돼 있다.FGB가 발사되고,
이후
4회에 걸쳐 발사된 다른 구조물이 조립되면 1999년 1월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3명의 승무원이 최초의 국제우주정거장을 방문하게 된다. 이로써 2단계의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은 끝난다.1997년 5월 2 ... ...
만병의 근원 감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몰고갔던 감기가 1957년과 1968년에도 창궐한 바 있다. 우리를 초조하게 하는 것은 1968년
이후
30년 동안 휴지기였다는 사실이다. 어떤 전쟁보다 많은 사망자를 낼 수 있는 감기가 내년, 아니면 10년 후에 올지는 아무도 모른지만 오는 것만은 분명하다.”이쯤 되면 감기가 대수롭지 않은 병이라고 ... ...
이집트 룩소르 신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고대왕국의 왕들이 매장된 '왕들의 계곡'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다. 피라미드 시대
이후
이집트의 파라오들은 도굴로 미라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의 무덤을 암굴 형식으로 바꿨다. 왕들의 계곡은 그래서 생겨난 곳이다.왕들의 계곡에서는 62기의 왕과 왕족의 묘가 확인됐다고 한다. 이 중에서 ... ...
21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는 단점이 있다.2차대전
이후
관성항법시스템은 발전을 거듭해 현재는 대륙간탄도탄이나 유도미사일을 목표물에 정확하게 명중시킬 수 있다. 또한 관성항법시스템은 비행기가 항로에서 벗어나지 않고 비행하는데도 사용된다. 1983년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토론을 듣던 미국 국민은 닉슨의 논리적인 말솜씨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그러나 TV 토론
이후
판세가 바뀌기 시작했다. 화면에 비친 닉슨은 토론 얼마 전 2주간 병원에 다닌 탓에 조금 초췌해 보였다.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부통령으로서의 여유로움을 보이지 못하고 케네디의 말꼬리를 잡는데 ... ...
종이책은 사라지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7개국에서 9천 6백여 회사가 참가한 이 박람회에서 전자책이 처음 선보인 것은 지난 93년,
이후
꾸준히 전시물이 증가하더니 올해는 이 분야에만 59개국 1천 6백 20개 회사가 참가했다. 이는 작년에 비해 6.5% 늘어난 수치다. 대회 조직위원회의 피터 바이트하스 위원장도 개막 연설에서 "전자 출판은 ... ...
노벨물리학상/추·코엔타누지·필립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원자를 냉각하기 위해 6방향에서 레이저 빛을 쪼여주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의 냉각 및 포획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확산됐다. 현재 이런 형태의 레이저 냉각장치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필립스 박사는 추 박사의 실험장치를 개선해 좀더 체계적으로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