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바디랭귀지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때, 기쁠 때 등 다양한 상황의 자세를 나타내는
사진
24장을 피험자에게 보여줬다. 이
사진
은 얼굴이 뭉개져 표정을 알 수 없다.피험자의 뇌활동을 분석한 결과 환영표시처럼 두팔을 벌린 기쁠 때의 자세는 시각피질의 활동을 높였다. 반면 움츠리는 자세처럼 두려울 때 보이는 자세는 편도 같은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마치 피카소 같은 위대한 화가가 그려낸 작품인 듯하다.만약 베르트랑이 깜깜한 밤에
사진
을 찍었다면 지상의 모습은 어땠을까? 다양한 모습과 다채로운 색상보다는 반딧불같이 반짝이는 불빛의 밀도가 각 도시의 특색을 전해줄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단조롭고 특별한 게 없을 것 같지만 한번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위험하지만 조기에 발견해 수술하면 완치율이 높다”고 말했다.한편 남자의 경우는 X선
사진
을 찍지 않고도 자신의 장기가 정상인지 뒤집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장 역위증인 경우는 음낭의 오른쪽이 약간 아래로 처져 있기 때문이다.심장이 왼쪽인 이유 모든 장기가 거울로 배치된 경우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옥 사이를 떠돌던 유령 잭이 어두운 우주공간에 남긴 흔적이 혹시 스피처가 찍은
사진
의 주인공이 아닐까.스피처가 포착한 우주 귀신은 사실 우리 은하에 있는 ‘DR6’이라는 성운이다. DR6은 지구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39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DR6이 이런 모습을 하게 된데는 가스와 먼지가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 정체를 드러낸 것은
사진
기술이 좀더 발전한 뒤의 일이다. 1900년에 찍은 이 영역의
사진
이 1903년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리면서 이 성운은 그 기묘한 형상 때문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이 성운의 중요성은 전혀 인식되지 못했다. 단지 성운에 어두운 틈새가 존재한다는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용해 연속함수로 이어주면 손상된 부분이 자연스럽게 복원된 매끄러운 얼굴
사진
을 얻을 수 있다.이 교수팀에서는 이밖에도 나노분야에 필수장비인 원자현미경의 측정결과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현재 계산수학연구실에는 박사후과정 1명, 박사과정 4명,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최초로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도 X선 회절무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XRD가 첨단장비이긴 한 것일까.“XRD는 고전적인 장비가 맞습니다. XRD의 기본원리도 예나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황철광을 생성하는 화학반응은 해양퇴적층에 산소가 부족할 때 일어난다. 때문에 이
사진
은 플랑크톤의 잔해가 수천년 전 매장됐을 당시 흑해의 바닥에는 생명이 살지 못했던 것을 암시하고 있다.일러스트레이션부문 2등 대식세포와 세균의 수채화데이비드 굳셀, 스크립스 연구소, 분자 생물학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올해 2월 12일자 ‘네이처’ 의 표지를 장식했다. 이 나노구조물의 전자현미경
사진
을 보면 지름 약 22㎚의 정8면체 구조가 뚜렷이 나타난다.DNA를 벽돌로 이용하면 건물의 벽이나 담장 모양을 한 나노두께의 2차원 판도 만들 수 있다. 역시 시만 교수팀의 아이디어로 연구자들은 수십개의 염기로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현택 교수도 “사건과 상관없는 화려한
사진
이나 자극에 반응해 p300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한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죄지식’ (Guilty Knowledge) 외에 p300을 유발할 수 있는 자극을 잘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검찰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그럴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