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넘을 때 손상된 범퍼가 스스로 복구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작게 만들어 생체 조직으로 활용하거나, 몸 안에 들어가 혈관을 복구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로봇으로 응용할 수 있다. 문 센터장은 “핵심은 ‘변한다’는 4D 프린팅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할 수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미래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정홍식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는 기회를 주기를 추천합니다.물론 천둥번개가 매일 치는 것은 아니며, 불꽃놀이도 1년에 몇 차례 수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들이 공포에 떠는 행동을 쉽게 생각할 문제는 아닙니다. 공포증을 자주 보이는 것이 아니라면 필요한 경우에만 약물을 복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개를 면접 전에 제시한 뒤 30분 정도의 준비 시간을 주고 학생들이 답하도록 했다. 나머지 1개 문항은 인성 관련 문항으로, 사전 준비 시간 없이 현장에서 바로 질문한다. 조 부장은 “평소에 풀이 과정을 말로 풀어내는 연습이 중요하다”며 “필기에만 의존하는 공부 방법은 면접에서 어려움을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각각의 염기 조합들이 언제나 정해진 아미노산만을 지정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1개의 코돈은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고, 64가지 코돈은 각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아미노산을 지정하면서 수많은 단백질을 합성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생명체는 이런 방법으로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 ...
- [가상인터뷰] 시조새는 쥐라기 하늘을 날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 안녕! 나는 ‘아르카이옵테릭스’라고 해. ‘시조새’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졌지. 1억 5000만 년 전인 쥐라기 후기, 열대 지방의 얕은 바다와 섬에 살았어. 주로 곤충을 먹었지. 나는 깃털과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새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파충류의 특징도 가지고 있어. 날개에 손가락이 있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중에 떠 있는 가상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하고, 허공에 손을 휘두르면 멋진 그림이 그려진다? 이런 SF영화 같은 일이 기자단 친구들의 눈앞에서 펼쳐졌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있는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의 첨단 가상현실 기기들 덕분이었지요. 현실과 가상현실이 만나 펼쳐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주망원경!2009년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름 2.7m, 길이 4.7m의 원통 모양으로, 약 10만 개의 중심별을 29분마다 찍어요. 과학자들은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포착하는 ‘횡단법’으로 케플러의 데이터를 분석했지요. 그 결과 2700여 개의 외계행성을 찾았는데, 이는 여태까지 발견한 외계행성 중 70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 외계행성에 대한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노력이 정말 놀랍군! 앞으로 또 어떤 사냥꾼들이 등장할지 궁금한걸?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진동의 주기가 일치하면서 공진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초고층건물의 주기는 8~10초 정도로 긴 편인데, 바람에 의한 진동도 주기가 길어 공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바람이 지나가다가 초고층건물을 만나면 건물을 돌아가면서 소용돌이를 만드는데, 이 소용돌이가 바람이 만드는 진동의 ... ...
이전5915925935945955965975985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