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희귀생태계 간직한 알다브라, 관광지로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주인격인 파충류 외에도 대륙과는 판이한 양상을 보이는 식물군락과 쥐 나비 기타 해양
생물
들이 살고 있다.한편 세이셸 기금측은 알다브라 관광코스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관광객들은 먼저 세이셸제도의 수도인 마에섬에서 알다브라와 27km 떨어진 어섬프션 섬까지 1천km 거리를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예: 왁찐-백신, 알레르기-앨러지, 비루스-바이러스). 이와 같은 용어의 혼용은
생물
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조금은 다른 경우가 될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세균'과 '박테리아'를 별개의 것으로 알고 있는 실정이다.■잘못된 용어'냉혈동물/온혈동물'과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 별들이 '적색왜성'이며 약4분의3에 이르는 모든 별들은 적색왜성인 것이다.적색왜성에
생물
체가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러면 태양과 같은 별이 필요한데 우리 은하계의 10퍼센트만이 태양과 유사할 뿐이다.참고로 천랑성은 우리 태양보다 너무 크고 밝아 이 역시 생명체를 지원하지는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일어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논쟁에서 신경
생물
학자가 지적한대로 생명의 기원이나
생물
의 진화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학자는 각자 자기 전문분야에서 접근해야지 타분야에 대한 기초도 없이 잘못된 선입관을 갖고 공개된 논쟁에 참여하는 ... ...
돼지의 분뇨성분을 활용하는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찾는 일이었다. 그 결과 브레비박테리아 코리네박테리아 아트로박터 등 3종의 미
생물
이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게 되었다.아직 이 세 박테리아중 어떤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암모니아를 라이신으로 변환시켜 주는가는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소규모의 실험용 발효장치를 활용, 최적임자를 골라내는 ... ...
자기장이 달팽이의 속도를 늦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는
생물
중 달팽이 만큼 느린 놈도 드물다. 가장 빠르다는 정원달팽이의 시속이 0.0503km 정도이고 다른 달팽이들은 시속 0.0005km를 넘지 못한다. 그런데 이렇게 여유작작한 보폭을 더 늦추게 하는 인자가 최근 발견돼 동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그것은 다름아닌 자기장이었다. 다시 말해 주변에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말려 굳힌 것 등을 이용했다.(4) ① 고대 사람들은 어느 민족이든 태양을 숭상했다. 어떤
생물
도 태양 빛을 받지 않으면 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이 처음 발견한 불은 그것을 이용하기에 앞서 경외의 대상이었다. 힌두교의 이구니신, 영국의 스톤헨지, 잉카제국의 거대건축물들을 봐도 당시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유형은 이종(異種)간의 관계다. 넓게 보면 이것을 전부 공생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즉
생물
은 제1유형의 관계와 제2유형의 관계 다시 말해 공생을 통해서 서로 관련돼 있는 것이다.동종간의 관계와는 달리 공생에는 다양한 편성(偏性)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 인연의 강약과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대해서도 잘 설명할 수 없다. 지구상에 나무가 아무리 무성하게 자랐고 서식하는
생물
이 많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땅에 그대로 묻어서는 석탄이나 석유가 될만한 양이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큰 홍수가 이들을 쓸어모으고 지각의 격변에 의해 땅속에 묻혔다고 보지 않으면 설명하기 어렵다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밝히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려고 한다. 여기에는 해부학자들까지 끼어 있다. 몇년전 고
생물
학자들이 두개골 내피(內皮)에 남겨진 뇌의 흔적에서 언어구사 여부를 추정해 낼 수 있는 특징을 발견해냄으로써 이 방면 연구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같은 시기의 원숭이 두개골에서는 그같은 특징이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