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편이다. 이러한 발전에는 소재의 변화도 한몫했다. 강철과 함께 아세틸, 알루미늄을 사용해 가벼워졌다. 그 밖에도 폴리우레탄 피부를 입혀 겉모습도 사람의 손과 비슷해지고 있다. 186개의 힘 감지센서를 활용해 글씨 쓰기, 유리병 집었다 내리기, 공 움켜쥐기, 열쇠 고리 들어올리기 등 정교한 ...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듀마는 원통형을 고집하지 말고 그냥 육각형의 박스로 포장하는 게 포장지를 덜 사용한다고 했다.산타의 고민 해결포장지를 아끼는 방법은 특히 산타에게 유용할 것이다. 여기에 포장의 부피를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 루돌프가 끄는 썰매에 가능한 짐을 많이 실어야 하니까 말이다.영국 워릭대 ...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방법은 먹이 식물 그 자리에서 사육하는 것이다. 양끝을 묶을 수 있고 옆에 지퍼가 있어 사용하기가 편리한 슬리브(sleeve)라는 장치를 이용하면 비교적 손이 덜 가며, 실제 크기의 성충이나 발육 상황을 자연 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슬리브 안에는 애벌레를 위한 ... ...
-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논란거리다. 유명한 신경과학자 수전 그린필드는 영국 의회에서 “소셜네트워크 사용자는 어린아이처럼 유치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또 엽기적인 자극을 선호하고, 타인과 공감하지 못할 뿐 아니라 불안한 자아정체성을 가진다”고 말해서 논란이 됐다. 본고는 해외 언론의 과학기사를 참조해, ... ...
- 부모와 대화 많이 할수록 수학실력 오른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단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일상생활 속에서45개 이상 공간개념과 관련된 단어를 듣고 사용해 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평가점수가 23% 정도 높았다.레빈 교수는“아이들의 공간지각능력은 초기발달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결과”라며,“부모들이 아이들과 많은 대화를 ... ...
- Intro. 스티브 잡스는 수학을 좋아했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버튼을 최소화해 누구나 쉽게 쓸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수학에서도 기호와 식을 사용해 간결함을 추구하는데, 이런 점은 수학과 스마트폰이 닮은 점이죠. ❹ 직관적인 아름다움, 황금비로 그린 사과아담의 사과, 아인슈타인의 사과처럼 사과는 저와 뗄 수 없는 과일입니다. 제가 창업한 애플사의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한다. 이 때 모자를 어느 높이만큼 짜야 할지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 원의 공식이 사용된다. 머리를 반구형이라고 가정하면, 반지름을 구해 모자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머리 둘레가 57cm일 때, 머리 둘레 = 2×반지름×3.14, 57cm = 2×x×3.14, x ≒ 9, 모자의 높이는 약 9 cm가 된다. 이제 게이지를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안 될 정도로 필수적이다.데이터마이닝은 쇼핑 말고도 군사, 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미사일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거나, 국가정보기관에서는 도청하는 엄청난 양의 통신에서 테러와 관련된 내용을 찾아내기 위해 이용한다. 그리고 의학에서는 암의 재발 가능성을 ... ...
- 파리도 예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분해하는 역할도 하고 있어. 실제로 음식물쓰레기를 빨리 없애는 데 파리의 애벌레를 사용하기도 한단다. 게다가 이렇게 예쁜 파리들도 많잖아? 그러니 이젠 우리 파리를 그냥 못생기고 더러운 해충으로만 생각하지는 말아 줘~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향해 메시지를 보낸다.SNS 네트워크는 항공노선과 같다!그렇다면 전세계 대부분의 사람이 사용하는 인터넷이나 7억 명의 사람이 즐기는 SNS 네트워크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모양으로 생겼을까?1999년 미국 노트르담 대학의 물리학과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교수와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 ...
이전5905915925935945955965975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