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빠르면 50년 뒤 '쥐라기 치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그 대안으로 진화사적으로 공룡과 가까운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스터른
박사
는 “우리가 흔히 먹는 닭의 DNA로부터 공룡을 복원할 수 있다”면서 “기술적으로는 아직 50-1백년 후의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다양한 생물에서 유전자 정보가 밝혀지고 있는데, 이 유전자들은 종을 ... ...
스스로 세탁하는 옷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이 박테리아가 인체 분비물이 없을 경우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지 연구중이다.파울러
박사
는“발냄새가 심각한 사람의 경우, 신고 있는 동안 냄새가 나지 않는 신발이 있다면 그 시장은 어마어마할 것”이라며, 또“고급소재로 짠 스웨터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먼저 세탁에 대해 고민할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폴리아세틸렌이라는 플라스틱을 합성한 것이 시초다. 실제로 이 연구팀의 한 한국인
박사
가 처음으로 폴리아세틸렌을 필름형태로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1976년 겨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앨런 히거(Alan J. Heeger) 교수와 앨런 맥디아미드(Alan G. MacDiarmid) 교수 연구팀이 당시 객원교수로 이곳을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어려운 점이 있다고 토로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뉴욕 IBM에서 근무하고 있는 제자 최원경
박사
는 “교수님은 철저히 자율적인 연구를 강조하세요. 그냥 시키는 것이 익숙한 학생에게는 더 어려운 일이 될지 몰라도 다르게 보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지요”라며 ... ...
비타민C가 독이 될 수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때문이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암약리학센터의 이언 블레어
박사
가 그 주인공.블레어
박사
는 “음식물에서 섭취한 지방 때문에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인 리피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가 DNA를 손상시킬 수 있는 독성 물질인 게노톡신로 전환될 수 있다. 비타민C의 촉매 작용에 대한 시험관 실험 ... ...
모차르트는 돈가스 때문에 죽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알아? 포크커트릿(돈가스)이야! 얼마나 맛있는지 몰라”라는 내용을 적었다. 허쉬만
박사
는 “이때 모차르트가 제대로 익히지 않은 돈가스를 먹어 선모충병에 걸렸다”고 추정했다.1971년 35살에 요절한 천재 음악가의 죽음에 대해 그동안 말이 많았다. 당시 의료진은 시신을 해부도 하지 않은 채 ... ...
화성 물의 존재 말하는 새 지형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원추형 지형이 나타난 시기는 1천만년 전보다 더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됐다. 맥이웬
박사
는 “지하얼음이 수백만년 전 5m 정도 깊이에 존재했다면, 현재는 10m가 넘지 않는 정도의 깊이에서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화성에서 미생물을 기대한다면 추운 극지역보다 따뜻한 지역이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1981년 6월 5일 미국의 질병예방통제센터는 남성동성애자 5명이 정체불명의 치명적인 질병에 걸렸다고 발표했다.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가 최초로 발견된 순간이었 ... 고유의 경로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것을 밝히는 연구가 우리의 미래”라고 코르베일
박사
는 강조했다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연구실은 노광수 교수를 중심으로 8명의
박사
과정과 6명의 석사과정 연구원이 참여해 꿈의 정보통신사회를 위해 연구하고 있다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동원해 안전하다는 확인이 된 후에야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사실 코헨
박사
가 인간에게 처음 사용한 세포질이식법은 1981년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메클러던 해리스의 논문을 응용한 것이다. 해리스는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 후 세포분열이 중단되는 불임 쥐를 연구했다. 이때 정상적인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