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콜릿 사랑한 물리학자의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상 어항 같은 그릇에 M&M 초콜릿을 비치해두고 간식으로 즐겨 먹었다고 한다.연구팀은
실험
에서 한발 더 나아가 복잡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그러자 길쭉한 타원체의 경우는 공간을 74%까지 차지하는 결과를 확인했다.연구팀은 구형보다 타원체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까닭에 대해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전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 노희천 교수가 이끄는 KAIST 원자로 시스템 설계 및 해석
실험
실이 매진하는 연구주제가 바로 수소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원자력 발전시스템의 개발이다.수소생산을 위한 차세대 원자력 발전시스템은 기존의 것과 어떤 점이 다를까. 노 교수는“냉각재에서 차이가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가천의대는 줄기세포 배양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배아 줄기세포를 쥐에 이식하는
실험
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15명의 저자 가운데 순천대 자연대 박기영 교수는 실제 연구에 참여하지 않고 이번 연구의 윤리적 타당성을 검토했다. 현재 대통령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인 박 교수는 황 교수가 광우병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쥐에게 전기충격을 줘 스트레스를 받도록 고안된
실험
에서, 나무막대기 더미가 있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쥐가 스트레스를 덜 받았다. 쥐는 나무막대기 더미를 계속 쏟아버리면서 스트레스를 발산한 것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쥐는 위궤양이나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돌연변이 연구는 생명체의 진화나 암연구에 대한 단서도 제공할 것이다.그러나 우주
실험
에 유리한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골치 아픈 훼방꾼은 액체 속의 공기방울. 지상에서는 비중 차이로 인해 액체 속 공기방울이 수면 위로 올라와 없어지지만 무중력 하에서 공기방울은 요지부동이다.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뒷전이기 일쑤라고 한다. 입시 중심의 교육이 계속되다보니 설립 초기 취지였던
실험
실습 중심의 영재 육성이 사라졌다는 것. 무엇보다 각 학교 행정가들의 생각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또 호기심 강한 학생들을 맡아 가르칠 전문 교사의 임용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한다.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단계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라는 호르몬이 보상중추에 작용하는 시기입니다.동물
실험
에서 이 두 호르몬은 짝짓기를 할 때 뿐 아니라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일 때도 많이 분비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성에 대한 사랑이 깊어져 결실을 맺고 잘 키우기 위한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볼 수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담당하는 뇌의 영역(후구, olfactory bulb)에서 나노입자가 검출됐다. 나노입자의 농도는
실험
을 진행시킨 7일간 계속해서 증가했다.나노입자이 뇌로 침투할 수 있다는 오베도스터 박사의 연구결과는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는 “설탕가루 자체가 흡수된 ...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는 성시범씨는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실험
한 결과 봄이 올 때까지 꽃을 피우지 못하게 하는 유전자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내 ‘네이처’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성씨는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에서 유학 중이다.식물에는 FLC라는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흡입한 후 하루가 지나자 후각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후구에서 나노입자가 검출됐다.
실험
이 진행된 7일간 나노입자의 농도는 꾸준히 증가했다.영국 에딘버그대 독물학자인 켄 도날드슨 박사는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