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았다는 의미다. 주말 내내 슈퍼폰을 침대 맡에 던져둔 탓이다. 10년 전 스마트폰을 쓰던
대학
시절에는 배터리가 부족해 늘 충전할 곳을 찾아 이리저리 헤맸던 기억이 떠오른다.출근하자마자 슈퍼폰으로 3차원 영상을 편집해 제출해야 했다. 업무시간 전까진 배터리 잔량을 높여야 한다. 트램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2006년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5월부터 17개월 동안 전국의
대학
병원에서 독성 간손상 증례를 조사한 결과 한약에 의한 간손상이 가장 많았다.약의 부작용이 단지 한의학의 문제만은 아니다. 그러나 현대의학에서 쓰는 약은 부작용이 대부분 밝혀져 있지만, 한약재의 부작용은 잘 알려져 ... ...
2010 극지연구 논술 공모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고등부 금상은 광주과학고 1학년 백부경 군이 차지했다.
대학
부에서는 금상 수상자가 없었으며, KAIST 경영과학과 3학년 김슬기 씨와 원광대 한의대 1학년 김건희 씨가 은상을 수상했다. 대상 수상자는 ‘2011 폴투폴 코리아 북극연구체험단’에 참가할 기회를 받았다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청소년들이 과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고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각 지역의
대학
과 민간단체와 협력해 과학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과학 원리를 체험과 실험을 통해 가르친다. 학교와 사뭇 다른 수업 방식이다.자기가 사는 주민자치센터에 신청하면 ‘생활과학교실’에 참가할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각도로 조명했다. ’21세기 프론티어사업(14회)‘ ’과학나눔과 과학기부문화(8회)‘ ’
대학
연구센터 시리즈(20회)‘와 같은 시리즈 기획 기사로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임승환 기자는 심층 취재를 통해 현장의 의견과 소비자 중심의 의견을 보도해 의학기사의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플라스마와 처음 만난 건 아마도
대학
3학년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전공과목으로 플라스마 관련 과목을 수강했다. 그러나 멀게만 느껴지는 이론과 지난한 수식들로 인해 큰 흥미를 못 느꼈다.그러던 어느 날 전공 실험과목 수강 중에 저온 플라스마 발생실험을 했다. 그때 아름답고 마법 같은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적어요. 하지만 작은 풍력발전기들을 무시하면 큰코 다친답니다!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교 존 데비리 박사 연구팀은 풍력발전기들을 잘 배열하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물고기떼가 무리지어 움직일 때, 한 마리가 움직일 때보다 저항을 더 적게 받는다는 것에서 생각해 낸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괴델은 잘 모를 것이다. 푸앵카레 같은 현대 수학자가 만들거나 밝힌 수학적 업적은
대학
교에서나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중·고 교과과정에 없다 보니 이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물론 수학에 관심이 많다면 일부 수학자 이름은 들어봤을 수도 있다. 푸앵카레는 문제를 풀면 100만 달러를 준다는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모의고사가 낮게 나오는 편이지. 정시보다는 수능최저학력을 요구하는 수시모집을 통해
대학
에 가는 방법을 찾아보는 게 유리하겠구나.” 수능 모의고사 성적은 단기일에 올리기는 힘들다. 6월 이후 재수생이 합류하면 모의고사 등급은 지금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나카와 펜 교수는 이 공로로 함께 2002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다나카의 경우 당시
대학
만 졸업한 학사 출신의 회사원이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나카가 개발한 방법이 바로 ‘말디’다. 말디는 매트릭스상 레이저 탈리 이온화(Matrix-Assisted LaserDesorption Ionization)의 약어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