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학생들이 ‘동아리에 잘 들어가면 1년이 행복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만큼 동아리 활동 시간은 학생들이 학교안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입니다. 5~8명 자율동아리 구성도 좋아동아리 활동의 형태는 ‘정규교육과정 내 동아리활동(정규동아리)’과 ‘학교교육계획에 의한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끼기도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 외계행성에 대한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노력이 정말 놀랍군! 앞으로 또 어떤 사냥꾼들이 등장할지 궁금한걸? 행성사냥꾼들이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시리즈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궁금하다면 다음 앨범 ‘結’에 주목하자. ‘영원히 소년이고 싶다던 아이들은 거짓 가면을 찢고 진실과 행복이 존재하는 미래로 갈 수 있을까? 수비학★수와 인간, 문화,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 우주 만물을 수로 표현하려 노력했던 피타고라스를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집합의 부분 집합인 짝수 집합의 크기가 자연수 집합이 크기와 같다고 주장하며 수천 년 동안 받들려 오던 유클리드의 5번째 통념 ‘전체는 부분보다 크다’를 부정했기 때문이다. 칸토어를 지지한 남자 힐베르트모두가 칸토어를 비난할 때, 칸토어의 수학적 아이디어에 푹 빠져 헤어 나오지 ... ...
- 울산과학고등학교가 수학 즐기는 비법! 내고, 모으고, 풀고, 즐기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꾸려 좋은 문제를 선별해 ‘우리들의 문제’ 문제집을 만들기 시작했다. 최성호 군(2학년)은 “처음이라는 데 모험심도 생겼고, 새로운 문제를 만드는 게 아름답다고 생각해 시작했다”며, “단점을 보완해 앞으로 더 좋은 책으로 발전시키는 게 목표”라고 초대 편집장으로서 포부를 밝혔다. 책에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통해 대중의 관심을 물리학으로 쏠리게 하기 위해 애썼다. ‘과학동아’가 2015년부터 매년 여름 개최하는 과학 대중강연 행사인 ‘사이언스 바캉스’는 과학의 서밋이다. 올해는 아주 작은 양자부터 무한한 우주까지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 ...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낮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홍역 예방 접종이 1차만 의무였던 2001년에는 국내에서도 수만 명이 홍역에 걸렸다. 이 교수는 “2차 접종이 의무화되면서 국내에서 홍역이 자발적으로 생긴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2014년 이후 지금까지 국내 유래 홍역 발생수는 0건이다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최근 수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동물을 이용한 실험으로 기존 수사 기법을 검증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수사 방법을 연구 중이다. 미국은 테네시대 인류학연구소, 텍사스주립대 법인류학연구소 등 6개 연구기관에서 시체를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양수발전소 지하 700m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실험을 해왔다. 실험실을 지하에 만든 이유는 윔프가 아닌 다른 입자가 검출기를 지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중력하고만 상호작용하는 ... ...
이전588589590591592593594595596 다음